♡ Igor Stravinsky(1882~1971) ♡ 2008/12/06 17:29 |
| |
● Liz Belinga - Untitled ●
●★ 스트라빈스키 음악시학 ★●
창조자의 기능은 그가 (상상)으로부터 받은 요소들을 취사선택하는것인데 왜냐하면 인간활동은 스스로 한계를 설정해야만 하기때문이다... 예술은 통제되고 제한되고 철저히 다루어질수록 점점 더 자유로워진다.. 내경우에 내가 어떤 종류의 공포를 경험하는것은 일하기 위해 앉아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는 무한한 가능성과 대면해있는 자신을 발견하는 순간인데 나는 그때 모든것이 나에게 허용될것만 같은 느낌을 갖는다.. 그렇다면 나는 이 심연 속에서 자유를 잃어버려야 하는것일까? 이 무한함의 실제 앞에 나를 붙드는 현기증에서 벗어나기 위해 나는 무엇에 매달려야하는가..? 완저히 확신하는 것은 각 옥타브마다 12음과 다양한 모든 리듬을 마음대로 쓸수있는 결합들이 나에게 모든 인간의 천재적 활동으로도 결코 고갈되지 않는 풍부함을 약속 한다는것이다. 제한되지 않는 자유로 말미암아 내가 빠져든 번민으로부터 나를 구원해 낸 것은 나는 언제나 문제가 되는 여기에서 어떤 구체적인 것들을 향해 즉각 방향을 바꿀수있다는 사실이다.. 나에게 이론적인 자유는 쓸모가 없다.. 나 에게 유한하고 한정된 어떤것- 나의 가능성에 비례하는 정도로 나의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문제를 갖게하라..그리고 이와같은 문제는 내게 어떤 제한과 더불어 그 자체를 드러낼것이다.. 나 또한 나의 제한을 그것 위에 부여한다.. 나의 자유는 이처럼 내가 맡은 일들 하나하나 마다 스스로 정해놓은 좁은 틀 안에서의 나의 움직임 속에 존재한다.. 나는 한걸음 더 나아갈것이다. 나의 자유는 내가 나의 활동 분야를 더욱 좁게 제한하고 스스로 장애물에 둘러싸일수록 더욱 위대하고 의미있는것이 될것이다 구속을 감소시키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의지를 감소시킬 것이다.. 구속을 부과 하면 부과할수록 영혼을 구속한 사슬로부터는 자유로워질것이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Igor Stravinsky(1882 - 1971)는 그의 저서 음악 시학 (The Poetics of Music)에서 자유로움을 위한 한 수단으로서 어떤 제약을 받아 들이는 자신의 작곡 태도를 분명하게 밝히고있다.
● 스트라빈스키 리듬의 예들 : 봄의 제전 - 3악장교향곡 ●
● le Sacre du Printemps dans Sacarle 스트라빈스키 발레장면<<봄의 제전>> ●
● 스트라빈스키 발레장면 - 페트루슈카 ●
● Igor Stravinsky - Ragtime - Pablo Picasso ●
● Igor Stravinsky(1882-1971) ●
20세기 전반부의 음악에는 네 가지 주요한 방향성이나 경향이 발견될수있다 첫번째는 민족적 민요의 재료로 부터 주요한 요소를 차용하는 음악 양식이 계속적으로 성장했다는것이다 두번째는 신고전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흐름들이 발생했다는것인데 신고전주의는 과거(특히 어떤 경우에는 19세기 이전) 원리 형식, 기술들과 다소 명백한 상관관계를 가진 음악 양식과 이 세기 초반의 새 로운 발견들을 결합시키는것을 목적으로한다. 세번째는 독일 후기 낭만주의 특징들이 쇤베르크 베르크 베베른이 시작한 12음기법(dodecaphonic or twelve tone approaches)으로 변형되었다는것이다. 네번째는 이지적이고 지나치게 체계적인 작곡방법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현상인데 듣는이를 즐겁게하고 절충주의적이며 보다 단순한 재료를 사용하는..즉 신닝만주의나 작은 규모로 회귀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일부 작곡가들은 이러한 경향들을 어느 정도 그 이상의 흐름에 참여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인물이 올리비에 메시앙과 신고전 주의 기수라할수있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이다.
스트라빈스키 신고전주의는 8중주곡부터 오페라 < 탕아의 편력 - The Rake's Progress>(1951), 일반적으로 스트라빈스키의 양식을 따라다니는 꼬리표이다. 그 단어는 이 시기의 일반적인 경향을 가리키는 보다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될 수있다.. 이것은 아마도 스트라빈스키에서 잘 예증되고 대부분 그에 의해서 영감받은 것이었지만 그러나 대다수 다른 동시대 작곡가들(쇤베르크..)에서도 어느 정도 그 증거가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서 신고전주의는 절제,주로 대위법 적인 짜임새, 온음계와 반음계적인 화성같은 결과적인 특성을 낳는 균형,냉정, 객관성, 절대음악들과 같은 고전적 원리를 고수하는것이라 정의할수있다... 그리고 이전 작곡가들의 특정한 선율이나 양식적 특색을 모방,인용,혹은 암시 하는것 또한 포함한다.. 스트라빈스키의 <풀치넬라>는 페르골레지의 것으로 알려진 주제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면 발레음악 <요정의 키스-La Baiser de la fee>(1982)는 차이코프스키의 주제를 기초로해서 만든것이다.
스트라빈스키 양식의 다양성과 통일성은 간단히 논할수는없지만 스트라빈스키 리듬 화성 색채..그리고 이밖의 세부적인 면이 생명있는 음악적 실체와 분리 되는것이 아님을 강조한다..특히 스트라빈스키 리듬을 보면 {현세기에 이루어진 중요한 진전중의 하나는 마디줄의 횡포 다시말해 강약의 악센트가 2-3개 단위 군이 있고 강한 악센트가 강한 화성의 변화와 일치하고있는 규칙성에서 리듬을 해방시키는것이었다} 스트라빈스키는 규칙적인 리듬이 확립된뒤에 불규칙적인 리듬형을 도입시키고 규칙적인 리듬형으로 되돌아가게함으로서 종종 마디줄을 무시하고있다(Le sacre du Printemps,Augures printaniers) 봄의 제전 끝악장 시작부분의 리듬은 불규칙적인것같이 보이면서도 정연하게 소리가 난다 그것은 여덟번 나타나는 동기를 중심으로 다소 대칭적으로 구성되고있다(le Sacre du printemps, Dans sacrale) 그리고 (Symphony in C second movement)와 같은 정묘한 리듬형은 실제로 신고전주의 시대에 쓴 스트라빈스키 어느 작품에서나 발견 할 수있다... 특히 매력적인것은 중요한 종지 앞에서의 긴 진동 주기의 긴장감과 이완감 화성을 밀집시켰다가 펼치고 리듬의 위치를 뒤바꾸어놓았다가 다시 원래대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스트라빈스키 리듬의 또 한가지 섬세한 면은 침묵의 사용이다 이것은 화음사이의 들어올림에 지나지 않기도하고 악구 (프레이즈)가 시작하기 전의 강박에 숨을 쉬는것이기도하며 절정으로 나아가는 진행도중의 긴장을 축적하기 위한 수사적인 휴지 역할을 하기도한다.. 3악장 교향곡 (Symphony in Three Movement)의 두번째 악장, 2악장과 3악장 사이의 간주곡 (인터루드 - Interlude) 에서 이러한 예를 볼수있다.
♡프린세스 미뉴엣..*♬♡ (Classical Music Critic)
문헌참조 :「서양 음악사」 ((Grout & Palisca 공저))
● Johannes Brahms : Rhapsody in b Op.79 - n.1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