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일보 1월 31일(2018)자 보도 - 유석조 기자
● 네번째 교체, 光 化 門 현판 ●
수난의 광화문 현판 또 바뀐다, 이번이 4번째
"8년전 복원 때 고증 잘못..검은 바탕에 금박 글자로 내년 교체
광화문 정문인 현판이 또 한번 바뀐다고 한다. 광복 이후로만 네번째 현판을 달게된 파란만장한 역사다
문화재청은 30일 광화문 현판의 원래 색상이 검은색 바탕에 금박(금빛나는 물건을 얇게 눌러서 만든 것)
금박글자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며 "내년 상반기까지 현재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된 현판을 떼고
새 현판을 달 것" 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2010년 복원한 현재 현판이 균열현상을 겪은데 이어 고증 자체가
잘못됬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라 '부실 복원' 논란을 피하기 힘들것으로 보인다 '光化門' --> '광화문' -->
'光化門'
광화문은 1395년(조선태조 4년) 창건됐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렀다 현재 흑백사진으로 남아있는 광화문
현판이 처음 제작된 것은 조선 고종 초기 경복궁 중건(1865~1868) 때 일이다. 훈련대장이자 중건책임을
맡은 임태영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光化門' 이라는 한자 글씨를 썼다. 이 광화문이 경복궁의 정문 역할을
제대로 한 건 60년정도에 불과했다. 1927년 일제는 총독부 청사를 짓기 위해 경복궁 여러곳을 헐어내고
광화문을 경복궁 동문인 건춘문 북쪽으로 옮겼다. 제자리를 잃어버린 광화문은 6.25 전쟁 때 폭격을 맞아
소실됐다.
광화문이 다시 모습을 드러낸 건 1968년이다 박정희 대통령 지시로 경제성장기의 분위기를 상징하듯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재건됐다. 새 광화문에는 박 전 대통령 친필인 '광화문' 이라는 한글 현판이 걸렸다 그러나
노무현정부가 들어서면서 '박정희 글씨를 떼내자' 는 주장이 제기됐고, 2006년 시작된 광화문 복원 공사로
콘크리트 건물은 통째로 헐렸다.
8년만에 "이 색깔이 아니었네" 2010년 복원된 광화문에는 임태영 글씨를 복원한 '光化門' 현판이 걸렸다
그러나 가로 3.9m, 세로 1.5m에 이르는 이 대형 현판은 복원 2개월 만에 아래 위로 균열이 일어나 비위
논란에 휩싸였다. 현재는 갈라진 틈을 보수해 놓은 상태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색갈이 이상하다는 의견도
곳곳에서 제기됐다 "근정전. 근정문. 홍례문 같은 다른 경복궁 현판은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씨를 썼다" 는
주장이다. 당시 문화재청은 "도꾜대(1902), 국립중앙박물관(1916)소장 유리건판 사진을 보면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가 맞는다" 고 맞섰다. 흑백사진에는 글씨가 바탕보다 훨씬 어두워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6년 글씨가 바탕보다 밝아보이는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소장, 광화문 사진(1893년 무렵)이 나타
나면서 다시 논란이 시작됐다. 사진을 촬영한 각도에 따라 검은색보다 밝거나 어두워보이는 글씨라면
그것은 혹시 금색이 아닐까?
문화재청은 지난해 뒤늦게 이 현판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 뛰어들었다. 중앙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흑백
사진과 동일한 광화문 현판 색상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바탕색 4가지(흰. 검은. 옻칠. 코발트색)와
글자색 5가지(흰색. 검은. 금박. 금칠. 코발트색)를 넣은 가설 현판을 만들고 다른 각도와 날씨에서 촬영
했다. 1년만에 '검은색 바탕에 금박 글씨 라는 결론이 나왔다. 결국 10년 가까이 엉뚱한 현판을 걸어놓은
셈이다.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은 "논란이 처음 일었을 때도 과학이라는 게 있었을 텐데 문화재청이
너무 늦게 대처했다" 며 문화재 복원 문제에선 훨씬 더 정밀하게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보도자료 <조선일보 - 유석조 기자>
그럼에도 광화문 * 光化門 현판의 바탕색, 왜 하필이면 검은색인가..? 물론 문화재로서 고증도 중요하지만
도시환경적인 美, 아름다움도 중요하다 검정색은 제한적인 색에 불과하다. 최근들어 도시 전체를 뒤덮고
있는 검은색 시대, 블랙신드롬 무슨 현상인지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 후진적인 색상지식, 문화가 아닐 수
없다. 19세기만해도 색이 귀한 시대로 흑색, 백색이 주로 사용된 걸로 추측한다. 하지만 지금시대 21세기
현대는 시각적으로 보는 기쁨과 행복감을 주는 해피한 색상이 얼마든지 존재한다 그런 의미에서 검정색은
그러한 행복, 기쁨의 이미지는 아니다 이미 일상적인 생활 색상이 아니다. 통상적으로 장례-조문적 의미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의식주 생활문화에 검정색 사용은 편치 않은 문제가 있다는 판단이다
그런의미에서 볼 때 광화문 현판, 바탕색은 차라리 빨강이나 초록색(분홍글씨) 바탕이 보다 미술적, 미적,
예술적, 미학적 가치가 있다는 견해이다 예술평론지식인 시각에서 2010년 복원된 임태영 - 光化門 현판이
서체 등 여러면에서 미적 평가를 한바 있다. 과거시대 역사적으로 검정바탕을 경복궁 다른 문들에서 사용
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19세기와 21세기의 색상에 대한 관념, 문화는 차이가 있다고 본다. 21세기, 문화의
세기라할 만큼 색상, 검정색에 대한 이성적 사고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보편적 행복미학적인 색채문화, 빨-주-노-초-파-남-보 중심의 색상체제, 색상문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의 세기, 이제 사회 문화적으로 검정색 신드롬에서 벗어나야한다. 최근 보여지는 우스꽝스런
도시풍경에서 최악의 웃지 못할 넌센스라면, 그것은 속옷에서 장신구,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검정색으로
치장하는 비정상적인 검정색 신드롬, 블랙 만능주의 확장 현상이다 과연 이러한 블랙문화주의가 언제까지
지속될까? 그럼에도 최근 상업계, 예술계(음악), 특히 오케스트라나 독주자의 연미복의 경우, 검정 일색에서
곤색(감색) 계열로 바뀌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다행스런 변화가 아닐수 없다.
'Episod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PPY BIRTHDAY~♡ (0) | 2018.02.23 |
---|---|
세번째 연인 - [Miss Dior]~ (0) | 2018.02.17 |
레드컬러 미학~ (0) | 2017.12.29 |
미리해피크리스마스~ (0) | 2017.12.21 |
나이 신드롬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