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Critique

한국음악평론(III)

미뉴엣♡ 2015. 7. 17. 16:32
♡ 한국 음악평론(III) ♡    2009/11/26 16:50

 

 

                              %C2%FC%BC%D5%BF%A9%C7%E0_272a.jpg

 

 

 

                        ●★ J.S. Bach 음악의 정체성(Identity) ★● 

 

 

 

              DONALD JAY GROUT & CLAUDE V. PALISCA 공저 1988 개정 4판 서양음악사를 보면 독일의
              18세기 음악평론가(작곡가) (1)요한 아돌프 샤이베(Johan A dolph Sheibe 1708-76)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음악에 대한 1737년, <Der critische Musikus Stuck> 6.에 실린
              그 시대의 음악비평 원고 텍스트를 볼수있다. 우선 동서고금 동서양 지구촌 인류를 위한
              음악의 아버지 위대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그 시대 그러한 J.S. 바흐 양식에 대한 
              음악 비평기록이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기도하고 다소 의아한 시각이다. 이미 1700년대는
              바흐의 생존 시기로 당시 바흐 연구가 (2)미츨러(Mizler), (3)슈피타(Spitta)등 그 시대
              음악 학자들에 의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 비판론은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음악사적 기록이 전해지는가운데 "Grout - 서양음악사"에 소개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J.S. 바흐 양식 비판논고에 대해 바흐시대 이후 갈수록 음악지식 - 문화지식적으로 매우
              근시안적, 전 근대적 해석이라는 견해가 음악학적 차원에서 비판적 논란이 제기되고있 다..
              여기서 잠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비판" 일부를 보기로한다.

 

              "만약 그가 보다 편안함(Annehlichkeit)을 가지고 있다면 과장(Schwulstig)되고 혼란한
              양식을 통해 작품에서 자연스런 요소들을 제거하는 일만 없다면 그리고 과다한 기교의
              사용으로 작품의 아름다움을 퇴색시키지만 않는다면 이 위대한 인물은 온 나라의 칭송을
              받을것이다.. 그는 자신의 손가락들에 의해서 판단하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연주하기가
              극히 어렵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클라비어로 연주 할 수 있는 곡이면 그 무엇이든
              가수와 기악 연주자들이 그들의 목소리와 악기로 연주할수 있기를 바라기때문이다.그러나
              이러한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모든 장식음, 짧은 음을 비롯해서 연주 기법에 속하는
              모든 것을 그는 전부 음표들로 표현하고있다.. 그리고 이것은 그의 작품들에서 화성의
              아름다움을 빼앗을 뿐만아니라 그 전체의 선율미를 감추어버린다. 모든 성부들은 똑같은
              정도의 어려움을 가지고있고 서로서로 유기적 작용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어느 성부도
              주요 성부로 인지될수없다. 간단히 말해서 그는 음악에 있어서 詩 - (Poetry)에 있어서
              폰 로엔슈타인(Von Lohenstein)같은 인물이다. 과장은 작품을 자연스러운것에서 인위적
              인것으로 고결한것에서 암담한것으로 이끌었다. 사람들은 자연에 상반되므로 헛된 수고가
              되고만 그 성가신 작업과 보기드문 노력에 감탄한다."..............................


                  ● 요한 아돌프 샤이베(Johan Adolf Scheibe) - J.S. Bach 양식비판 일부 ●

 


               18세기 독일의 작곡가이자 음악 비평가인 Johan Adolph Scheibe(1708-76)의 정기 평론지
               (Der CritischeMusikus, Stuck 6. May 14 1737)에 실린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J.S.Bach
               양식비판 기록문이다. 재미있는것은 당시 요한 아돌프 샤이베는 J.S. Bach의 대위법 형식
               구조의 음악보다 (5)요한 고틀리프 그라운(Johan Gottlieb Graun 1730 - 1771), (6)요한
               아돌프 하세(Johan Adolph Hasse 1669-1783)작풍의 선율적으로 보다 가볍고 이지 리슨잉
               (Easy Listening)계열의 선율적 멜로디 양식, 대중 성향의 가락스러운 (7)호모포니, 단순한
               (8)갤런트(Gallant Style)양식의 작풍, (9)로코코(Rococo Style)스타일 - 선율적 경향을
               선호했다고 전해진다.

 

               J.S Bach이후 세대 18세기 음악비평가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1737년 발표된 J.S.바흐 양식
               비판론을 보면 그 시대나 지금이나 음악, 연주에 있어서 테크니컬 - 기교의 어려움에 대해
               의식적인 비판론이 지배적인듯하다..그러나 음악 연주행위에서 테크니컬 - 기교적 상황은
               음악, 연주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음악 요소이기도하다.그러한 기교적 요소를 배제
               하는것은 음악의 형태미적 존재가치를 부정하는것으로 음악의 창조, 작곡 행위에서 기교적
               요소가 생략된다면 그것은 살아있는 음악이라 할수없다..테크니컬요소 - 기교의 실현, 표현은
               주요 음악창조 행위로서 그것은 하나의 음악 형태미적 카리스마, 클라이막스, 카타르시스적
               요소이다. 다시 말해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비판의 핵심적 논쟁 - 테크니컬 요소의
               무용론, 경시적 비판론은 음악사, 예술사적으로 시대에 맞지않는 구시대적 여론 몰이적 비판
               행위로 볼수있다. J.S. Bach 말년 생존시기 그 시점에서 그러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비논리
               적이고 극히 개인적인 J.S. 바흐 양식에 대한 비판,반론이 존재한다는 사실..그것은 18세기
               이후 작금의 시대 제기되고 있는 음악사회적 뿌리깊은 논제 "음악비평 부재" 라는 사회적
               비판을 면키 어려울것이다.. 다시 말해서 18세기 그 시대 음악 비평가로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비판론은 대단히 부분적이고 저 지식적인 한계를 보여준 음악비평적 비논리와 이론
               으로 그러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비 전문성 바흐 양식 비판론은 역사가 지날수록 그 시대
               18세기의 음악 비평가로서 전 근대적이고 편협한 음악지식적 문화지식적 의식(통찰력) - 지식
               구조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러한 아돌프 샤이베가 비판 지적한
               바흐의 양식비판, 그 논란의 요소들의 모든 문제가 바흐시대 이후 오늘날의 J.S. 바흐 음악의
               탁월한 존재의 이유, 그리고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고유의 음악적 정체성(Identity)은 끊임
               없이 평가되는 근본적 논리적인 결정체, J.S.바흐 음악의 음악적 영속성의 인과관계라 할수
               있기때문이다. 

 

               1737년 그 시대 아돌프 샤이베의 J.S. 바흐 양식 비판론이 眞이었다면 오늘날의 J.S.Bach는
               분명 존재하지 않았을것이다..재미있는 사실은 당시 아돌프 샤이베가 비판한 바흐 양식비판
               요소, 모두가 바흐 음악의 위대성의 주요한 자료적 증거가 되고있다..그것은 J.S.바흐음악의
               생존력 과거 - 현재 - 미래적 시대 구분이 없는 음악의 지속성, 시대 초월적인 바흐 작품의
               태동적 생동적인 그리고 논리적인 음악성, 음악적 영속성의 실체이다. 예를 들면 바흐의 (10)
               평균율 - (11)평균율 곡집(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II)I권. Prelude No.1 BWV 846을
               들어보면 바흐시대 이후 현대, 미래시대..그 음악적인 감동은 변함이 없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오늘날의 바흐 음악의 존재의 위대성으로 말 해주는 바흐의 음악차별적인 작품성(바흐 음악적
               아이덴터티의 실체)으로 다시 말해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비판 대상은 J.S. 바흐 음악의
               잠재적 위대성을 영원히 입증해주는 바흐 음악의 음악적 경쟁력 음악적 정체성으로 그것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음악이 갖는 예술적인 힘, 위대성, 음악사 고유적인 캐릭터라 할수있다.
               그리고 그러한 아돌프 샤이베의 근시안적인 바흐 양식 비판론은 19세기의 "J.S. 바흐" 재 발견
               이라는 주요 동기를 부여한 음악사적인 사건으로 만약 아돌프 샤이베가 높이평가, 선호한 그
               시대적인 작곡가 고틀리프 그라운, 아돌프 하세가 그의 호평가처럼 바흐 이상의 평가가 문화
               사회적으로 인정되었다면 오늘날의 위대한 大 바흐는 존재하지 않았을것이고 19세기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재 발견" 이라는 음악 문화사적인 지대한 역사가 일어나지는 않았을것이다.
               따라서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J.S. Bach 양식 비판론적 근거, 그것은 (12)음악학(Musicology),
               학문적인 면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시대착오적 전 근대적인 그 시대 18세기적인 음악비평 오류로
               기록될것이다.

 

               J.S.Bach 음악의 위대성이라면 우선 (13)대위법에 의한 다양한 장르, 양식 그리고 형식을 흡수
               해서 작품성의 완성도적 확대 재 생산, 그리고 화성과 대입법 선율과 (14)다성음악(Polyphony)의
               갈등을 이루는 다양한 요구사항들이 상호간 긴장을 이루면서 만족할만한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바흐적 음악요소는 동서고금 절대적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만이
               할수있었던 음악 작업으로 이른바 그것은 J.S. Bach - 대 바흐의 음악적 위대성, 천재성이라
               할수있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음악의 음악사적인 차별화로 규정지을수있다.
               그러한 이유로 J.S.바흐 음악은 대위법 형식을 중심으로 바로크주의 클래식주의 음악사조적
               문화사조적 근간을 이룰때 바흐 음악의 역사적 예술적 진정성을 평가할수있고 그것이 바흐 음악
               정통성의 영원 불변의 진리로 평가될수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고유적 정통적
               작품성 음악조건적 환경이 결여된 바흐의 음악, 연주라면 그것은 이미 J.S. 바흐음악이라
               할수없다. 그러한 바흐음악의 오리지낼러티가 훼손 감소되는 바흐의 연주문화적 상황에서 20세기
               들어 클래식 - 고전주의 음악의 환경 공해적 지각변동 현상이라면 그것은 바흐 음악의 대중화,
               크로스오버라는 대중을 위한 상업적 음악 문화의 발생, 쏠림 현상이다. 이러한 문화 현상은 현대
               사회적 경제 논리에서 이해될 필연적 문화 현상으로 볼수있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J.S. 바흐
               음악은 바흐음악 고유의 (15)대위법(Contrapunctus)형식의 정통성을 유지하는 이른바 바흐음악적
               오리지널리티가 필수적이다. 그것으로서 바흐의 음악이 영원히 바흐 음악으로 평가, 존재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바흐음악의 정체성적 요소가 결여된 바흐의 음악, 오리지널 바흐성이 배제된
               바흐음악 그것은 바흐음악으로서 음악적 가치를 상실한 이미 죽은 바흐로 바흐 음악의 영원한
               독야청청 문화적 경쟁력에 무의미한 상업성 J.S.바흐 음악으로 오로지 그것은 대중을 위한 음악
               크로스오버적 범주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최근 국내 외 연주,문화계를 보면 J.S. Bach를 (16)재즈 버젼으로 연주하는 경향이 지배적인 연주
               문화환경을 볼수있다..그 실예로 20세기 사회문화적으로 클래식의 재즈화, 재즈문화를 확산시킨
               피아니스트 - 연주 단체는 재즈 피아니스트로 잘 알려진 피아니스트 (17)키스 자렛 (Keith Jarrett), 
               그리고 (18)자크 루시에(Jacques Loussier) 피아니스트를 중심으로 피아노 - 타악기 - 더블 베이스로 
               구성된 프랑스 재즈 트리오, 자크 루시에 트리오(Jacques Loussier Trio)이다. 현대 산업사회의
               필연적 동반문화 재즈버전 콘서트의 대중문화적, 상업 문화적 쏠림현상을 말 해주듯이 이들의
               연주는 신년 연말, 국내외 콘서트 프로그램을 거의 상업화로 채우고있는 상업문화적 콘서트 홀,
               시류적 풍경을 볼수있다. 이러한 대중문화 팽창 경향의 콘서트 문화, 대중성향의 바흐 문화를
               어떤 시류적 유행처럼 마주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흐는 바흐로서 그 정통성이 살아있을때
               위대한 바흐로서 영원한 음악적 문화적 가치가 존재된다.

               20세기 들어 J.S.바흐의 음악을 재즈 버젼으로 소개하는 클래식 - 재즈 콘서트 붐을 이루는 
               연주문화 상황에서 재즈 연주계 유명 연주자 재즈 피아니스트 - 키이스 자렛(Keith Jarrett),
               1980년대 음반자료, 자크 루시에 트리오(Jacques Loussier Trio)의 1965년 프랑스 샹제리제 극장
               실황녹음 음반자료, 연주를 만나보기로 한다.

 

 

                                   ■ Keith Jarret RECORDING PROGRAM ■


                                          ● George Friedrich Handel : Suites for Klvier

                                                             Suite II Hwv.452 in g.
                                                             Suite II Hwv. 447 in d.
                                                             Suite II HWV. 440 in Bb.
                                                             Suite I No.8 HWV. 433 in f.
                                                             Suite I No.2 HWV 427 in F.
                                                             Suite I No.4 HWV 429 in e.
                                                             Suite I HWV.426 in A.

                                          ● J.S. Bach :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
                                                             24 Preludes & Fuges

                                          ● J.S. Bach :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I
                                                             24 Preludes & Fuges


                                                      ((Keith jarret - Piano))


              우선 헨델과 바흐의 작품성이 높이 평가되는 건반음악 작품을 재즈 피아니스트의 이름으로
              만날수있다는 사실에서 상당한 피아노 연주 실력을 겸비한 피아니스트임을 평가 할수있다
              키이스 자렛(Keith Jarrett), 재즈 피아니스트로서 피아노의 테크닉, 톤의 명징함은 클래식 
              연주자의 그것과 다를바없는 비교적 명연적 연주완성도를 보여주고있다..그럼에도 재즈의
              본질 대중성의 본질은 클래식의 컬러, 바흐의 정통성과는 거리가 있는 대중성 연주, 재즈
              색채 스타일화가 분명한 연주 경향으로 재즈 피아니스트의 이미지 연주 캐릭터는 리듬 박자
              템포적 경향에서 바흐나 헨델의 고정적 틀에서 벗어나는 자유 분방한 재즈의 색채가 강하게
              자연스레 나타나는 재즈 피아니스틱의 피아니즘의 천부적 컬러를 확인할수있는 키이스 자렛
              헨델 - 바흐 연주에서 역시 헨델 - 바흐의 음악적 이미지는 어디에서도 찾아 볼수없는 재즈
              피아니스트의 재즈 콘서트로서 필요 충분조건이었다. 오늘날 클래식의 대중화라는 명목으로
              키이스 자렛을 비롯해서 클래식 장르를 재즈화 하는 연주자들이 우후 죽순처럼 증가하는
              연주문화 상황에서 키이스 자렛의 헨델의 조곡, 바흐의 평균율 - The Welltempered Klavier
              Book I.II에서처럼 그런 훌륭한 테크닉션 피아니스트가 궂이 재즈 버젼으로 바흐와 헨델을 
              연주하는 이유가 무엇일까하는 의문점이 제기된다. 그것은 아무래도 21세기 시대적인 산업
              문화적 조류의 영향이 아닐까한다. 음악의 산업화, 문화의 산업화 과정에서 대중성 음악,
              크로스오버 문화의 집중적 강세현상의 어떤 산업문화 사회적 증후군으로 이해되는 상황에서
              그럼에도 바흐는 바흐일때 바흐로서의 음악적 가치는 높이 평가된다.

 

 

                        ■ JACQUES LOUSSIER TRIO RECODING PROGRAM ■


                                                      ● J.S. Bach : Air on the G string

                                                      ● J.S. Bach : Siciliano in G magor

                                                      ● J.S. Bach : Italian Concerto

                                                                           Allegro 
                                                                           Andante 
                                                                           Presto

                                                      ● J.S. Bach : The Welltempered Clavier I
                                                      ● J.S. Bach : prelude No.1 in c.
                                                      ● J.S. Bach : pastoral in c.


                                           ((Plays by J a c q u e s L o u s s i e r Trio))

 


              Jacques Loussier Trio는 피아니스트 자크 루시에가 리더로 피아노 - 더블베이스 - 타악기로
              구성된 재즈 트리오 연주단체로 J.S Bach 음악을 재즈 색채로 재 탄생시키는 트리오의 마술사
              라는 평가를 받고있는 현대의 대중성 문화 정체성을 한 몸에 받고있는 인기 재즈 트리오이다. 
              자크 루시에 트리오 그들이 연주하는 J.S Bach 프로그램에서 역시 바흐의 음악적 정통성 고유성
              보다는 그들의 주제 연주 캐릭터 재즈 색채가 강세적인 연주 스타일로 J.S.Bach는 전혀 존재
              하지않는 재즈 콘서트, 재즈 훼스티벌 이미지가 선명한 "자크 루시에 트리오"의 바흐 연주의
              모든것으로 한 마디로 자크 루시에 트리오 & 바흐 연주에서 바흐적 정통성 이미지는 그들의
              바흐 연주, 어느 레퍼토리에서도 찾아볼수 없는 시니컬한 연주상황이다.
              한 인터뷰에서 Jacques Loussier Trio의 리더 피아니스트 자크 루시에는 대중과 J.S. Bach를
              좀 더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Jazz Style on Bach" - 재즈 버전으로 바흐 연주를 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대중과 바흐를 보다 가까이 하기 위한것보다는 J.S. Bach의 음악 고유성 정통성
              그것은 J.S Bach 작품성의 오리지널리티를 훼손 모독하는 연주행위로 바흐와 청중을 더 가깝게
              하기 위함이라기 보다 바흐의 정통성 부재, 왜곡상황으로 바흐와 청중 사이를 멀고도 먼 알라바마
              사이로 만드는것이나 다를바없다. 그리고 그것은 18세기 음악비평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비판, 20세기 J.S. 바흐 전문 피아니스트로 평가받는 글렌 굴드의 바흐 연주에서 흥얼거리는
              피아니스트 개인적 비음 제스추어를 일방적으로 첨가하는 해프닝적 연주행위, 그것은 대 바흐와
              청중에 대한 아주 무례한 소음 공해적 연주행위로 볼수있다.

 

              J.S. Bach가 존재하지 않는 요한 세바스쳔 바흐연주, 음악사 연주사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재즈 연주단체가 연주하는 바흐 연주에서 늘 제기되는 의문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성 음악,
              재즈 연주단체로서 연주자의 주제 음악색체에 합리적인 음악장르는 보다 유동적이다. 대중음악
              연주권에서의 대중음악 연주, 그것은 바람직한 연주문화로 대중문화 고유의 오리지낼러티를 위한
              금상 첨화적인 음악문화이다. 대중음악 연주는 대중음악 연주자에 의해서 그들의 연주 차별화는
              훌륭한 연주 완성도를 갖는다. 그럼에도 근본적으로 문화적 이질감이 내재된 고전문화와 대중문화
              의 합집합상태 이것은 물 위에 기름 양상으로 음악미적인 융화, 조화가 이루어질수없다. 이러한
              대중성 문화를 크로스오버 문화로 강제 평가하는것은 하나의 저 지식적인 문화 평가적 오류이다..
              더 이상 크로스오버 이름으로 클래식 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무는 웃지 못할 문호 넌센스
              코미디, 대중음악과 클래식음악의 교집합 문화상황은 배제되어야한다 그것은 대중음악에도 클래식 
              음악에도 서로 상호적 관계가 되지못하는 상대적 조건으로 클래식문화 대중문화는 각각의 문화적
              독립지대이다. 따라서 클래식 문화는 고전문화로서 대중문화는 대중문화로서 독창적인 문화적
              고유성 - 문화예술적인 캐릭터를 상호적으로 존중해야된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음악의 정통성, 고유성, 오리지넬러티의 존재가치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
              치지않는 바흐의 영원한 문화 경쟁력이다. J.S. 바흐의 르네상스, 클래식의 부활, 이 세기 문화
              시대가 요구하는 필연적인 문화사조적 주제가 될수있다. 그럼에도 바흐의 음악 정통성을 훼손하는
              상업적 행위, 바흐음악의 대중화라는 명목으로 재즈 스타일 대중스타일 크로스오버화하는 시류적인
              연주문화 환경, 그것은 몇몇 연주단체도 문제지만 매스미디어 - 방송 매체에서의 역할, 연주단체
              이상의 문제점을 갖고있다. 그리고 직접적인 그 문제의 확산은 미디어, 방송 매체에서의 보다 큰
              영향력을 보여주는 상황으로 클래식 전문 채널에서도 클래식 장르, 바흐의 음악은 물론 전통 클래식
              연주단체의 연주, 방송을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한 기현상으로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작금에 계속되는 방송, 전파 공해적 상황이다.

 

              클래식이 클래식의 범주를 이탈할때 클래식 고유의 문화성 예술성은 저하된다. 그것은 대중
              문화에서도 같은 의미로 대중음악은 대중음악으로서 훌륭한 예술 문화적 가치는 충분조건이다
              따라서 대중음악, 클래식 음악 모두 각각의 문화적 카테고리가 분명한 문화적 언어가 존재한다.
              20세기 이후 문화적 기치기준의 상실의 시대, 혼돈의 시대라는 시대적 유행어가 있듯이 고전
              음악은 고전음악으로서 바흐음악은 바흐 음악으로서의 정통성 가치기준이 필수적인 문화시대
              고전음악 바흐음악의 고유성 작품성적 명예훼손 사례는 시간이 갈수록 심각한 위치로 볼수있다.
              이러한 문화 예술의 가치 혼돈적 상황, 그 발생 이유가 있다면 그것은 시대를 불문하고 산업
              문화의 과 팽창, 문화의 소비층 - 지식인 문화계층이 감소되는 원인적 배경이 아닐까한다.
              "21세기는 죽은 지식인의 시대"라는 어떤 시대 풍자적인 냉소적인 부제가 아니더라도 21세기
              현대 문화사회 지식인 계층의 부재, 감소 현상은 오늘날 문화 가치기준의 혼돈을 야기 유발하는
              직접적 계기가 되는듯하다. 문제는 음악, 문화 사회적으로 문화적 가치 기준의 자정이 필요한
              금세기 문화 현실에서 J.S. Bach - 동서양의 음악의 아버지 대 바흐의 음악 정통성 고유성이
              절대 평가되는 바흐 음악의 위대성, 그것은 모든 인류의 - 인류를 위한 음악으로 영원히 보존,
              생존되어야한다. 
    
              J.S.Bach의 작품 고유성 대위법의 정통성이 존재될때 대 바흐의 음악적 오리지널리티는 실존
              할수있다. 대위법 구조의 바흐 작품이 연주하기 난해한 작품이라면 연주력이 떨어지는 대중
              상업적 연주단체에서 바흐 연주문화 그 필요성이 어디에 있는지 이해되지않는 언 벨런스적
              문화상황이다.이것은 불 필요한 소비 문화사태로 재즈에 적합한 대중음악 장르는 무한대적
              상황이다 재즈기법 연주가 그렇게 다양한 음악 효과를 기대한다면 대중음악 장르에서 찾는
              방법이 음악문화적 방법론이 될수있다. 바흐음악을 재즈 스타일화 편곡 연주하는상황, 이것
              이야말로 바흐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우려되는 고전주의 클래식문화 훼손 행위로 대 바흐의
              음악적 고유성을 모독하는 행위이다. 그것은 또 하나의 1737년 아돌프 샤이베의 J.S. 바흐
              양식비판 잔재 증후군으로 그것은 클래식 문화 후진시대 아돌프 샤이베 이하시대로 돌아가는
              것으로 21세기 현대산업사회, 산업문화가 우선이라하지만 예술문화의 역사성은 후진될수없다. 
              다시 한번 부언한다면 J.S.바흐 음악이 샤이베의 양식비판론 우세로 그 시대에 묻혀졌다면
              19세기 J.S.Bach 재 발견이라는 음악 문화적 대의 명분이 존재할수 있었겠는가? 19세기에
              J.S.Bach 재 발견이라는 대 문화사조가 존재하는것은 당대 최소한 "요한 아돌프 샤이베"보다 
              뛰어난 음악학자 계층이 존재했고 "바흐음악의 위대성"이라는 예술문화 사회적 명제가 확고
              부동했기 때문으로 볼수있다. 

 

              음악양식적으로 J.S. Bach의 음악은 대위법역사와 전통에 기인하는 17세기 바로크 클래식
              음악으로 질서와 조화라는 구조적인 틀을 갖는 클래식 문화의 근본적 원류(오리제낼러티)
              로서 바흐의 음악은 고전주의 문화의 근본사조, 규칙과 법칙을 우선으로한다. 그것은 대중
              음악장르 재즈, 크로스오버류와는 형식 구조적인면에서 분명한 차별성을 갖는다.그런 의미
              에서 재즈가 대중음악이 부르스가 각각의 고유의 음악 정체성을 갖을때 그 대중성 장르가
              갖는 고유적 음악미적 가치는 평가된다.그리고 바흐의 음악 역시 대위법 전통에서 질서와
              조화의 응집력은 높아진다..요컨대 바흐는 바흐 원형으로서 존재하는것이 원칙이다. 바흐에
              재즈, 부르스, 크로스오버 요소가 개입된다면 그것은 더 이상 순수한 바흐가 아닌 바흐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변질된 바흐의 변형적 그것이다. 따라서 위 두 재즈 연주자 피아니스트
              키이스 자렛(Keith Jarrett), 자크 루시에 트리오(Jacques Loussier Trio)의 바흐 연주에서
              보았듯이 J.S. 바흐의 음악에 바흐가 없는 어처구니 없는 재즈 코미디 상황에서.. 바흐음악에
              바흐가 없다는 논리는 붕어빵에 붕어가 없다는 해프닝보다 강세적인 풍자적인 코믹 드라마
              상황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바로크 고전주의 정통 大 바흐 - J.S. Bach로서 300년의
              대위법(Contrapuntus)전통을 지켜왔다. 그러한 길고 긴 바흐 본질의 음악 아이덴터티 역사를
              20세기 현대문화적 시류 - 산업문화적 논리 적용으로 하루 아침에 바흐 음악 정통성의 재즈화,
              대중화, 크로스오버화하는 혼돈적 문화 기현상은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근 3세기 전통의 유구한
              바흐음악의 역사 - 바흐의 원류, 바흐의 문화 고유성, 고전주의 문화에 대한 중대한 문화적
              혼란, 명예적 훼손으로 그것은 18세기 요한 아돌프 샤이베의 바흐 양식비판론 버금가는 샤이베
              아류적 문화 저 지식적 오류현상으로 21세기 클래식 문화의 세기 "음악의 아버지 大 바흐"를
              연주함에 있어서 상업적 대중성 경향이 아닌 보다 음악학, 음악사적인 지식코드, 해석으로
              J.S.바흐 클래시컬리즘 문화에 촛점을 맞추는, 그리고 J.S.바흐의 대위법적 오리지낼러티가
              절대적으로 실존되는(Invention - Prelude - Fugue - Toccata - Suite - Pasacalia)연주문화,
              대 바흐 정신의 음악 아이덴터티에 대한 절대적인 평가가 어느때보다도 중요한 조건의 21세기 
              현대, 클래식 르네상스 문화시대이다.

 

              참고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음악의 아이덴터티" 주제에 부쳐 무엇보다도 중요한것은 J.S.
              바흐를 바흐답게 연주, 해석하기 위해서는 바흐음악의 오리지낼러티라 할수있는 대위법(Contrapunctus)
              관련 주요 형식들에 대한 보다 겸허하고 성실한 연주 태도이다 그런 의미에서 바흐의 음악
              정체성 중심에 있는 대위법 양식의 핵심적 장르, ☆Invention No.1 in C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 - Prelude No.1 in c ☆Italian Concerto - Allegro. Bwv 971의 악보자료를
              부분적으로 참조 부연하기로 한다.

 

                                                  ● Invention No.1 in C. BWV 772.

                                                  ● Prelude No.1 in c. BWV 846.

                                                  ● Italian Concerto - Allegro. BWV 971.

 

 

                                                           ♡프린세스 미뉴엣..*♬♡

                                               (Classical Music Critic)

 

 

                              imagejpgA.jpg

'Art Criti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음악평론(II)  (0) 2015.07.17
Johan Adolf Sheibe에 대한 생각  (0) 2015.07.07
미뉴엣 G장조의 음악고유성  (0) 2015.07.07
클래식문화의 위기  (0) 2015.07.07
비평문화 부재론  (0)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