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Critique

한국음악평론 2010

미뉴엣♡ 2015. 7. 2. 20:24

♡ 한국음악평론 2010* ♡    2010/11/08 18:56

 

 

 

                  10272359 jpg.JPG

 

 

 

                   ●★ 한국가곡의 노래문화적 르네상스를 기대하며 ★●

 

 

                                                  여세실 미뉴엣..∮。*♬♡

                                                 (Classical Music Critic)

 


서양음악사, 유럽 음악사적으로 나폴리 민요, 이탈리아 가곡의 발생기적 기원은 18세기로 알려져있다. 그러한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나폴리민요, 이태리 가곡의 노래로서의 명성은 시대를 초월해서 오늘날까지 노래로서의 애창, 애청되는 그 인기도는 어느 나라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는 독보적인 가곡(민요) 명곡으로 위풍당당 그 인기적 위세를 자랑하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이태리가곡의 천부적인 선율미, 음악적 낙천성과 러브 스토리성 노래 가사적 캐릭터로서의 훌륭한 음악성과 작품성 때문으로 인식된다. 특히 이탈리아의 명 가곡류, 민요의 전통적인 레퍼토리로 잘 알려진  불꺼진 창(Fenesta ca lucive e mo nun luce), 너는 왜 울지 않고, 먼 산타루치아(Santa Lucia Luntana), 오! 나의 태양(O Sole mio), 물망초(No ti Scorda di me) 등 나폴리 전통민요에서 그리고 ⓑ카치니-아베마리아, ⓒ토스티-이상, 꿈, 기도, 4월, 세레나데, ⓓ카르딜러-무정한마음(Core'ngrato), ⓔ팔보아-그대에게 내 말 전해주오(Dicitencello Vuie), ⓕ단치-후니쿨리 후니쿨라, ⓖ조르다니-오 내사랑(Caro mio ben), ⓗ디 쿠르티스-물망초(No ti Scorda di me), 이러한 이탈리아 가곡(노래)들에서 이태리 가곡의 명품적 노래성은 노래문화적으로 동서고금 지구촌 세계인의 애창곡으로 글로벌시대 최고의 영예를 구가해 온 이태리의 명품가곡, 노래문화로서 음악사적으로 이탈리아, 나아가 세계의 가곡(노래)사를 장식한 이태리의 뛰어난 정신문화 유산이라해도 부족함이 없을 듯 하다. 그러한 이탈리아의 수 많은 전통가곡의 노래적인 특징이라면 예로 부터 멜로디 라인이 아름답고 낭만적인 노랫말이 으뜸으로  로맨틱한 유연한 멜로디와 가사에서 세계인의 지속적인 사랑과 인기를 모으고있는 금세기적 로맨틱 애창가곡(노래) 레퍼토리로서의 인기절정의 명맥은 여전히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있다. 그러한 이태리 가곡이 갖는 전통적인 아름답고 로맨틱한 노래사적인 연유로 해서 오늘날 전세계인의 애창곡, 노래의 마스코트로서 이탈리아의 노래 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노래문화적 상황에서 이태리 가곡의 세계적인 명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옛 노래가 있다면 그것은 이태리 14세기 시대의 명 발라타 작곡가 ⓙ프란체스코 란디니(Francesco Landini 1325-1937)의 ⓘ발라타(무용반주 노래)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란디니의 옛노래 발라타는 이태리 가곡류, 나폴리 민요류의 재래, 무용을 위한 노래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오랜 가곡(춤 노래)으로서 오랜 노래역사성을 지닌 옛시대 노래로서 오늘날의 이태리 가곡의 노래적 문화성은 음악사적으로 볼 때 프란체스코 란디니의 노래사적인 중요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란디니의 발라타(ballata)에 대한 노래로서의 새로운 관심, 음악적 연구분석 작업은 매우 흥미로운 음악사적인 작업으로, 이러한 란디니와 발라타에 관해서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알아보기 위해 서양음악사 자료(Grout & C. Palisca 공저 서양음악사), '14세기 이탈리아 음악편'을 보면 프란체스코 란디니에 관련해서 아주 재미있고 동화적인 그리고 전설적인, 노래사적인 음악사 이야기 한 편이 소개되고 있다. 그 내용은 어느날 란디니의 발라타(그시대 무용노래곡) 한 곡을 란디니가 오르간으로 연주한 절묘한 오르간 연주-노래소리를 듣고, 그것에 감동한 새들의 감정표현, 감동 스토리로 자연과 새들에게서 보여진 대단히 동화적인 반응과 장면을 묘사한 이야기이다. 몇 번을 읽어도 미소를 머금게하는 그 란디니와 발라타의 관련된 전설적인 이야기 속에서 상상할 수 있는것은 란디니 발라타와 한국 가곡의 어떤 노래적인 흥미로운 연계성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란디니의 발라타는 먼 옛날 14세기시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그야말로 노래중의 노래로서 그 명성은 오늘날에도 끊임없이 회자되는 그 시대 뛰어난 노래문화적 상황에서 또 하나의 동양의 란디니의 발라타의 가곡성 그 노래성에 버금가는 노래문화가 존재한다면 동양의 예술가곡(노래)이라할 수 있는 1900년대 한국문화 개화기시대 한국의 가곡문화를 이끌었다 할 수 있는 한국가곡 인기 레퍼토리들로 그 시대 가곡(노래)으로서 노래문화를 불러일으켰던 한국인의 애창-애청 명작 가곡류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가곡의 초기 낭만시대, 공통관습시대적 가곡문화의 선두 리더라 할 수 있는 홍난파 - 현제명 - 이흥렬 - 채동선 - 김성태 등 한국 명작 가곡류의 총아적 집합체인 '한국가곡 명작 베스트 모음선'에 포함되는 '한국 명 가곡 모음집'「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100선」이 그것이다. 갑오경장 이후 한국 문화개화기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류에 등재된 명작가곡(노래) 레퍼토리 레벨이라면 그 음악성과 노래성은 14세기 란디니의 발라타에 버금가는 노래적 인기와 명성을 갖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듯 하다. 그것은 한국가곡의 근본적인 노래 서정성, 은근과 끈기의 미학을 한국인의 음악정서에 필요 충분적인 노래 이미지로 내재해 있었기 때문에 그런 평가를 해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가곡의 노래로서 음악적인 정체성에 대한 노래문화적인 비교, 분석에서 한국 가곡의 노래연계적인 노래성(작품성)은 한국의 예술가곡(노래)으로서 한국인의 정신문화적인 정서를 대변한 한국인의 노래로서 한국인을 위한, 한국인 고유의 생태적인(전통적) 가곡으로서 노래(가곡)백년 대계를 이어갈 수 있는, 한국 가곡의 영원한 노래적 생명력의 어떤 노래문화적인 원천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가곡이 갖는 노래성과 란디니 발라타와의 노래 합목적성, 노래연계성(공통성)적인 유사점이 많다는 것을 재발견되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한 시각에서 21세기 현대, 과연 14세기 시대 란디니의 발라타의 신화가 재현될 수 있는 한국가곡의 전성시대, 진정한 르네상스, 한국 예술가곡의 노래 문화로서의 옛 명성(황성 옛터)은 다시 도래할것인가..? 라는 긍정의식과 부정의식이 교차하는 회의적인 의문을 갖게된다. 그럼에도 그러한 한국가곡 르네상스에 대한 강렬한 여망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면서 한국 가곡의 문화사적인 100년 미래. 한국가곡의 오늘과 내일에 대한 문화적인 이슈, 관점에서 한국 음악사회 현존의 여러 작곡발표회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오늘의 한국 예술가곡의 노래문화적인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기로 한다.

 

서양음악사(Grout & C. Pelisca 공저), 기록에 의하면 이탈리아 14세기 문학작가 ⓚ조반니 다 프라토, ⓛ「알베르티가의 낙원중」에 이탈리아 14세기 발라타 작곡가 '프란체스코 란디니'와 [발라타-ballata]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음악사 이야기 자료가 전해지고 있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위해 발라타에 관련된 간략한 음악사적인 기록 자료를 먼저 소개하기로 한다.

 

발라타(Ballatta) : 14세기 이탈리아 세속음악의 세번째 유형인 다성 발라타는 마드리갈보다 늦게 성행하였으며 프랑스 발라드양식에서 다소 영향을 받았다. 원래 발라타라는 단어는 무용(이탈리아어 ballare:춤추다 라는뜻)을 반주하는 노래를 의미하였다. 13세기의 발라타(그 음악적 예는 남아있지 않다)는 합창 반복구가 붙은 단성 춤노래였다. 보카치오의「데카메론」에서는 발라타나 ⓜ발라테타(ballatetta)가 여전히 무용과 결부되어있지만 이 형식은 종교적인 라우다에서 발견되고 있다. 지금까지 보존된 14세기초의 단성 발라타가 몇 곡있지만 필사본에 있는 대부분의 예는 2성부나 3성부로 되어있으며 1365년 이후의 것이다. 이러한 순수하게 서정적이고 양식화된 다성 발라타는 형식면에서 프랑스의 비를레를 닮았다.

 

프란체스코 란다니(Francesco Landini 1325-1397) : 발라타 작곡가중 가장 선도적인 인물, 14세기의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가장 뛰어난 음악가 프란체스코 란디니였다. 그는 어려서 천연두로 맹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란디니는 교양있고 기욤 드 마쇼와 드 비트리와 같이 존경받는 시인이었으면 음악의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도 음악사적 평가를 받는 작곡가로 많은 악기에 정통했던 그는 특히 휴대용 소형 오르간 ⓝ오르가네토(organetto)의 연주 기술로 유명했다. 비록 맹인 연주자이지만 정상인의 그것 못지 않는 오르간 연주에 있어서 정확한 박자와 아름다움의 표현으로 그 시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오르간의 명인, 명연주자로 탁월한 연주 평가를 기록하고 있다. 프란체스코 란디니는 '조반니 다 프라토'의「알베르티가의 낙원」중에 나오는 주요 인물 중 한 사람으로, 이 책은 1425년 이후에 씌여졌지만 1389년 부터의 사건과 회화를 기록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기록되고 있는 짧은 이야기(novelle)-- 보카치오의「데카메론」과 초서의「캔터베리 이야기」와 비슷한 구성으로 짜여진 이야기--들 가운데는 란디니 자신과 관련된 이야기가 소개된다.

 

조반니 다 프라토(Giovanni da Prato)「알베르티 가의 낙원」중에서 (대략 1425년) : 이제 태양은 더 높이 오르고 한 낮의 열기는 더 해갔다. 모든 사람들은 기분좋은 상쾌한 그늘에 머물러있었다. 푸르른 나뭇가지에서 수 많은 새들이 우짖고 있을 때 누군가가 프란체스코 란디니에게 오르간 소리가 새들로 하여금 그들의 노래를 더 부르게 하는지, 덜 부르게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란디니에게 오르간 연주를 청했다. 란디니가 그의 청에 따라서 란디니가 오르간 연주를 시작하자 매우 이상한 상황이 벌어졌다. 란디니의 오르간 노래가 들리자 주위의 많은 새들이 조용해지는 것처럼 보였고 놀라기도 한 듯 주위로 모여들어서 한참 동안 귀를 기울여 듣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새들도 상상할 수 없는 즐거움(기쁨)을 나타내면서 그들의 노래를 다시 시작하여 먼저보다 더욱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며(합창) 오르간쪽으로 날아와 프란체스코 란디니의 머리 위의 나무 위에 앉은 한 마리의 나이팅게일은 특히 더 열정적이었다고 한다.

 

Il paradiso degli Alberti A wesselofselofsky 편집(Bologna 1867), pp.111-13.

 
                                          

                                   20100326_201419_24a52fb1b6a12e8b6b67814dc37a48.jpg

                                     ● Francesco Landini - Ballatta : Non avra m'a pieta ●

                                        그녀는 결코 동정하지않는다 이 나의 아가씨는..아마 그녀의

                                        의지가 {이 불꽃을 꺼버릴 수...}

 

                                                「Polyphonic Music of the Fourteenth Century」
                                                IV.p.144(Monaco,editions de l'oiseau-Lyre,1958)

 


● 한국가곡 오늘의 문화적 이슈

 

서양음악사(Grout & Palisca 공저), 스토리 자료에서 보듯이 14세기 시대 이탈리아의 맹인 작곡가 프란체스코 란디니와 발라타에 관련된 전설적인 재미있는 음악사 스토리는 언제나 그 이야기를 접하는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음악 동화처럼 잔잔한 미소를 짓게한다. 그것은 오늘의 현대인에게 란디니의 발라타속의 감동적인 새들처럼 잠시나마 유아적인 행복감을 전해주는 해피 음악비타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란디니와 발라타의 전설적인 이야기를 접하면서 노래를 좋아하는 현대인, 노래를 찾는 사람들 - 가곡 애호가 그리고 음악 전문가라면 란디니와 발라타의 관계스토리가 매우 신비롭고 경이롭게 여겨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상상일듯하다. 서양음악사에서 볼 때 노래사적으로 란디니와 발라타와의 음악적인 관계는 그야말로 천부적인 하늘이 내린 작곡가와 발라타라는 노래적 작품성의 신비스런 관계로까지 보여진다. 그리고 그것은 남녀 이성간의 천생연분의 이미지와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성악, 가곡에서도 란디니와 발라타 관계적인 작곡가와 작품간의 천생 연분적, 필연적 음악성의 관계로 성립되는 한국가곡 인기 명작 명곡이 얼마든지 존재한다. 예를 들면 19세기 문화 개화기 시기의 홍난파의 봄처녀를 비롯해서 현제명의 그집앞, 고향생각, 이흥렬의 꽃 구름속에, 바위고개, 김성태의 이별의 노래, 채동선의 망향, 김동진의 가고파, 금수현의 그네..등 한국가곡 명작류들이 그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시대 한국 가곡의 옛 노래의 시정, 서정, 기질적 특성, 노래적인 열정, 인기는 예전과 같지 않은 듯한, 한국가곡의 노래로서의 침체적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그러한 가곡 침체 현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과정을 음악사회 전반에서 보여지는 상황으로 한국가곡의 옛 명성, 황성 옛터가 그리워지는 시대적 음악문화적인 세태에서. 이러한 현상은 한국가곡의 계속적인 발전상에 어두운 그림자를 예고하는 안타까운 음악사회적 문화 이슈로, 매우 우려되는 문화적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가곡(노래) 문화의 침체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란디니 발라타와 19세기 초기의 한국가곡 문화의 옛 명성, 인기도의 부활을 이끌어내는 것이 이 시점에서 바람직한 가곡 문화운동이 아닐까 생각한다. 어쨋든 란디니 발라타가 그렇듯이 한국가곡 역시 노래로서의 진정한 해피 비타민의 역할을 충분히 해왔다는 관점에서 오늘날 한국 가곡의 침체적 상황은 한국가곡의 역사적 전통, 노래문화의 비극적인 음악 현상으로 그것은 갑오경장 이후 19세기의 열정적이었던 한국가곡 전성기적인 가곡 인기도와 비교해서 화려했던 그시절의 가곡사적인 격세지감의 불투명한 그림자를 보는 듯 하다. 오늘날 이와 같은 가곡 침체현상은 한국가곡 100년사라는 역사적 의미에서 보더라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시적인 음악사회적 조류로서 이러한 한국 가곡의 노래문화적인 침체현상을 보완 회복할 수 있는 방안,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가곡의 옛 정취, 분위기를 되살리는 노래의 활성화를 위한 최소한의 대안으로 가곡(노래), 노래 부르기라든가 노래발표회, 작곡 경연대회에 대한 음악 사회적인 뜨거운 관심과  적극적 참여, 동적인 활성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보다 업그레이드화 한 전근대적인 운영시스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예를 들면 기존의 형식적인 가곡 작곡 발표회에서 탈피하는 획기적인 작곡 경연대회로서의 선발과정, 평가 레벨의 어떤 질적인 개선 체제가 필요하다. 그것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 음악사회의 전반적인 가곡제(발표제) 상황을 살펴보면 가곡제로서의 어떤 특성(개성)이 다소 유명부실한 형식적인 무개념적인 가곡제가 우후 죽순적으로 난립해있는 듯한 인상이다. 현재 한국 음악사회의 공식적인 창작음악을 위한  작곡발표 프로그램은 한국 국민악회, 창악회, 작악회를 비롯해서 '대한민국 창작음악의 브랜드화-ⓞKOREAN MUSIC EXPO', 그리고 언론사, 방송사가 주관하는 각종 작곡발표회, 창작가곡 발표회가 운영된다. 이러한 모든 작곡발표회의 출품작 내용을 보면 우선 출품(참여)과 창조 개념만이 강조된 어떤 형식적인 의미의 통과의례, 공통관습 성향의 무조건적인 난해성이 일반적인 작곡(음악)상황, 음악언어들로 구성된 작품이 거의 대부분으로 한 마디로 선율적으로, 노래 개념상으로 무미 난해한 작곡 언어적인 남용사례가 지배적인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청각적으로, 음악적으로 난해 무미한 가곡류들의 우후죽순적 증가 현상은 여러 작곡 발표제를 통해서 양산되는 예를 볼 수 있다. 그러한 작곡발표회에서 선발된 가곡류들을 보면 노래로서의 중심 캐릭터는 옛 가곡의 음악적 내용, 개성을 찾기에는 다소 어려운 작곡언어 수준으로 오로지 작곡을 위한 작곡(가곡) 이미지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음악애호가는 물론 노래를 찾는 현대인, 노래 애호층에게도 이해하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음악적 구조로서, 현대 산업사회의 문화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우선 편리한 것, 쉬운 것, 간편한 것, 단조로운것에 주목하는 현대 문명적 사고에서 볼 때 무미건조한 어려운 노래 형태야말로 가까이 하지않게 되는, 이른바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노래로서 필연적인 난해한 노래 문화성이라 할 수 있다(오늘의 주제가 한국가곡 노래로서의 쉬운이미지 찾기가 우선인 만큼) 가곡의 본성, 즐거운 노래로서 의미에 좀 더 촛점을 맞춘다면, 노래문화 활성화에 획기적인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다시 말해서 노래로서 근본사상은 청각적으로 작품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듣기, 그리고 따라하기 쉬운 노래, 그것은 단순성의 미학이 적용되는 멜로디 라인의 이지 리스닝적인 음악으로서 노래의 기본적 구조와 형태미가 노래로서 갖추어져야 할 기본요소 필요조건이다. 그것은 분명히 노래(가곡)로서 중요한 경쟁력은 부르기 쉬운 노래, 듣기 쉬운 노래에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한국 음악사회 연중 작곡(가곡) 발표회의 전체적인 출품작 작품 완성도면을 보면 잠시 언급한 바 있듯이 멜로디 라인이 쉽지않은 구조에서 독창성이 떨어지는 모방성 개념의 창의성 부재적인 몰개성적 작품구조에서 한 마디로 음악성(작품성)이 비슷비슷한 작품들이 총체적으로 전시, 남용된 다중적 음악전시장의 분위기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그러한 몰개성적인 기존의 한국 음악사회에서 운영되는 작곡 경연대회 출품, 참여작 중에서 일반적으로 선발 상위권 내의 차별화된 작품 완성도를 갖는 수치는 총 출품작 10% 내외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출품작의 작품 완성도의 낙후성은 작곡 발표회의 미래적 이미지나 음악작품으로서 경쟁력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모든 작곡발표회 출품작품이 작품으로서, 음악으로서 가치 평가를 받을려면 어떤 작곡 발표회에서 발표된 수상작품에 대해선 필히 명에로운 작품으로서 보다 음악적으로 높은 고 부가가치가 평가되는 작품성으로 그 작품 발표회가 갖는 특유의 명예가 주어지는 동시에 그 작곡 발표제의 공인된 수상작 레퍼토리로서 연주 무대에 바로바로 소개되고 자주 연주되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여러작곡 발표회에서 수상작으로 발표되는 출품 작품들에서 보면 단지, 그 작곡 발표회를 위한 1일 작품으로 그 작곡발표 이후에는 바로 사장되는 경향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는 그야말로 1회성적인 작곡발표회 비극적인 음악환경적 구조에서 어떤 작곡발표회 출품작은 그 작곡발표회 이후에는 이름없는 1회용 음악으로 전락하는 예가 거의 대부분으로, 이러한 한국 가곡제의 침체적, 비인기적인 문화 현실에서 가곡제 무용론까지 대두되는 음악여론적 상황에 있다. 심지어 지난 1981년 제1회 MBC 대학 가곡제에서 '눈'이라는 작품으로 그랑프리 대상 수상을 한 바 있는 서정가곡의 명인, 작곡가 김효근 교수의 최근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한국 예술가곡이 죽어가고 있다" 라는 한국 가곡의 실존성(존재 의미)에 대한 매우 절망적인 이야기를 한 바 있다. 한국 서정가곡의 1인자라 할 수 있는 이수인 이후 서정가곡의 뛰어난 또 하나의 한국 서정가곡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명 작곡가로서 MBC 대학가곡제 그랑프리 대상작 '눈' 작곡가로 유명한 김효근 교수의 그러한 인터뷰 발언은 오늘날 한국 가곡의 침체적 상황의 심각한 현실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면 이렇게 각종 작곡 발표회에서의 출품작이 오랫동안 가곡(노래)으로서 생존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사장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음악으로서, 노래로서 어떤 작품 경쟁력에 문제가 있는것으로 볼 수 있다. 창작 가곡이라고 해서 어떤 창조 개념을 위한 창조성에만 의존, 평가, 집중을 해서는 21세기 현대 치열한 음악문화 경쟁시대 가곡으로서 노래로서의 작품성, 청중의 인기관심도, 작품 경쟁력에 마이너스적인 악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곡으로서 노래로서의 작품성, 그 경쟁력은 대단히 중요하다. 매년 개최되는 여러 작곡 발표회는 일련의 스포츠 대회가 아닌 만큼  참가하는데 의미를 두어서는 시대착오적인 해석이다. 현재 진행중인 여러 가곡 작곡발표회 자질적, 자존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작곡 발표제의 심사 기준을 높이는 운영제도 개선, 선발 평가적 권위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그 대회가 갖는 어떤 특징적인 소프트웨어적 작곡품질 개선이 선행되어야할 것으로 본다. 그렇게하기 위해서는 우선 참여자들에 대한 괄목할 만한 수상, 포상제라든가 상위선발, 차별적인 그랑프리제 확고한 수상 제도적 인센티브 강화가 필요해 보인다. 이렇게 해서 기존의 작곡 경연대회의 위상은 물론 그 대회의 출품작 모두에게 명예가 주어지는, 경연대회로서의 윈윈윈(win win win)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3방향 가곡제, 노래문화로서 작곡(창작), 소비(애호가), 연주문화(저명 성악인, 오케스트라에의 의한 연주) 공존의 이른바 삼위 일체적인 작곡(가곡) 발표회로서 '작곡 - 연주 - 소비' 모두를 위한 3계층이 적극 동참하는 3 win의 작곡(창작)문화 체제, 가곡제 운영시스템, 전반적인 음악 콩쿨문화의 문화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한 시대이다.


● 형태적 모호성(fusion)

 

란디니의 발라타. 14세기 시대를 풍미했던 대단한 인기 노래로서 새와 꽃 나무들이 즐기고 감동했다면 이 노래야말로 인간이 작곡한 최고의 자연의 노래로 자연계 모든 삼라만상을 감동시킨 위대한 노래임에 분명하다. 란디니의 그 명곡중에 명곡을 지금에는 들어볼 수 없다는 것이 대단히 아쉬운 유감이지만  란디니의 발라타가 그 시대에 그러한 위대한 명곡으로 존재하기까지는 발라타의 노래로서 음악적 노래적 공감대가 뛰어난 쉬운노래로서의 미학적 가치평가를 말해준다. 그야말로 가곡사적으로나 노래사적으로 란디니의 발라타는 노래중에 노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리고 한국가곡 또한 란디니의 발라타 인기도 못지 않는 노래중에 노래로 란디니의 노래 관계성이 이미 한국 가곡에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작금의 한국 음악사회 기존 작곡 경연대회에서 양산되는 노래형태의 여러 악곡형식, 노래 외형적 형태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사항을 보면, 이른바 노래도 아닌것이 기악도 아닌것이 그렇다고 오페라(아리아)도 아닌것이 임의적 이미지 진행의 멜로디 라인이 중심적인 악곡형태로 정체성면에서 불분명, 형식 모호한 제3의 가곡류들이 창작 가곡류(음악류)라는 이름으로 표면적 무늬만 노래현상(주제)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 음악사 스토리에서 란디니의 발라타에서 볼수있듯이 노래는 노래로서 노래 다울 때 그 노래의 생명력은 시대를 초월해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 그러한 이론은 한국 가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예로 프란체스코 란디니의 발라타의 노래 생태적 의미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1세기 한국 가곡의 100년사 시점에서 한국 가곡(성악)의 근대사적 이모저모를 살펴보면 한국 가곡의 수량적 위상은 분명히 높아졌다 할 수 있지만 노래로서의 내용적 평가위상은 그렇지 못함을 보여주고있다. 물론 가곡 역사적으로 한국 가곡의 서정적 낭만성은 란디니의 발라타에 못지 않는 뛰어난 작품성의 아름다운 명곡들이 이미 문화개화기 갑오경장 이후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주 민요] 조영배-산천 초목, [한국 민요] 채동선-새야새야 파랑새야를 비롯해서 김진균-또 한송이 나의 모란, 이수인-고향의 노래, 김노현-황혼의 노래, 박판길-산노을, 이흥렬-꽃구름 속에, 현제명-고향생각, 금수현-그네, 김규환-님이 오시는지, 현제명-오라, 김성태-이별의노래, 김동진-저 구름 흘러가는 곳, 김원호-언덕에서, 김순애-그대 있음에, 채동선-망향, 장일남-기다리는 마음 등 한국인의 감성적 심금을 울려주던 한국가곡 명 레퍼토리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 가곡의 서정적 미학을 대 내외적으로 보여주기에 충분한 한국(성악) 가곡의 대표성을 지닌 한국 가곡사적인 명작이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한국 가곡사적으로 '한국가곡 명곡 베스트 100선'에 랭크되는 가곡 리스트는 한국인의 정서를 진정으로 표현한 한국 가곡 명작으로 대한민국 가곡의 정신적인 지주라고 할 수있다. 특히 19세기 한국 가곡의 초기시대 - 한국가곡 제 1세대라 할 수 있는 홍난파 - 현제명 - 이흥렬 시대의 가곡 명곡은 아마도 란디니 발라타의 명성과도 견줄 수 있는 한국가곡의 낭만 서정성의 중심적인 명곡 레퍼토리로 남아있다. 이렇게 19-20세기까지만 해도 한국 가곡의 노래로서의 작품성은 한국인의 감정, 정서를 표현하고 노래한 가곡으로서 한국인의 애청, 애창 가곡으로 사랑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그러한 한국인의 노래로서의 가곡이 언제 부턴가 노래로서 외형적 이미지가 낯선듯 한 이런 저런 형식의 복합적인(mixed), 조합 작품형태로 마치 이국적인 어떤 국적 불명의 노래류로 형태변이 현상을 보여주고있는 상황으로 그러한 노래의 형태변이적 노래상황은 가곡적인 요소나 이질적인 국악개념도, 그렇다고 순수 클래식 형태, 장르도 아닌, 어떤 복합적인 형식으로 혼합된 다중 fusion 형태의 가곡(노래)류로 그것은 분명 노래로서의 순수성이 저하되는 월드뮤직 개념의 3류적 아류적 가곡류(노래현상) 출현이다. 그러한 현상은 여러 작곡발표회 - 이를테면 창악회, 작악회, Korean Music Expo, 한국 국민악회-작곡발표회, KBS-신작 가곡발표회, MBC-대학가곡제, CBS-창작가곡제 를 통해서 양산되는 예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오늘날의 한국의 가곡류가 발표되는 음악제가 적은 수라고는 할 수 없는 작곡 발표회가 해마다 정기적으로 개최, 진행되고 있지만 각종 작곡 음악제에서 일률적으로 발표되는 작품의 음악적인 품질적인 완성도는 옛 한국가곡 전성시대적인 인기도, 노래음악적 작품성과는 비교되는 작곡(음악)방향으로 그것은 가곡(성악) 노래를 찾는 노래 애호가를 비롯해서 일반 청자의 기본적 공통관습적 음악 이념적 공감대를 얻기에는 문제적 요소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어느 작곡발표회를 불구하고 출품작들의 내용과 형식을 보면 천편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형식적인 틀에서의 어떤 개성적인 면, 작곡가의 음악적 정체성이 결여된 무개념적인 형식론의 가곡들의 전시 진열장으로 보여지는 상황에서. 그러한 현상은 기존 가곡제의 어떤 행사적인 전시적 효과에 급급하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위에서 잠시 언급한 바 있지만 "노래는 노래로서 노래다워야 한다." 는 노래 원칙적인 노래 개념이 존재한다. 그 첫번째 개념이 쉬운 멜로디, 두 번째가 선율미의 단순성이다. 다시 말해서 가곡 - 노래는 근본적으로 ⓟ이지 리스닝(easy listening)의 개념을 필요로 한다는 이야기다. 그것은 14세기 란디니 발라타에서 보더라도 그러하다. 다시 말해서 14세기 옛 노래가, 그시대 가곡이 무엇때문에 자연의 산천초목, 나무에 앉아 노래하는 새들마저 그토록 감동할 수 있었겠는가? 를 분석해 보면 노래(가곡)의 근본원리, 생성적 캐릭터에 대한 답이 바로 나올 수 있는 부분이다. 결국 가곡류, 노래는 보다 단순하고 쉬운 멜로디 구성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이 다시 한번 부각된다. 그리고 그러한 가곡류의 노래로서의 인기를 모으는 특징 구조적 예는 란디니의 발라타는 물론이고 한국가곡 1세대 작품에서 부터 1900년대 공통 관습적 자연주의 낭만 가곡류 레퍼토리들에서 잘 나타나 있다. 그러한 분명한 예는 '한국 가곡 명작베스트 100선'이라는 타이틀의 명분으로 19세기 이후 인기베스트 명작가곡의 작품성, 음악상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그것은 가곡(노래)장르, 노래로서의 선율의 단순성, 쉬운 멜로디의 구조가 가곡(노래)으로서 어떤 생명력, 노래로서의 완성도 그리고 노래음악적 연계성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사실적으로 입증해 주고있다.


● 노래문화적 정체성

 

1900년대 초기 한국가곡의 전성시대를 장식했던 명작가곡류 이른바 한국 가곡의 노래로서 뛰어난 명작성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갈수록 가곡(노래)에 대한 기호도, 음악적 수요와 공급, 가곡문화에 대한 애호적 환경이 축소되는 음악사회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곡 100년사를 맞는 21세기 현대에서 볼 때 매우 불확실한 또 하나의 마이너스 음악문화적 현상으로 보여진다. 그러한 장구한 한국가곡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가곡에 대한 음악사회적 관심이 저조해지는 어떤 음악적인 작곡 구조적인 원인분석으로는 우선 노래 장르로서 한국가곡 100년사에 부합되는 좀 더 분명한 노래문화적 주제 의식이 다소 미흡한 상황에서 가곡의 질적인 완성도의 문제, 다중성 복합적인 멜로디라인의 다중적 소제의 혼재현상, 악곡의 양식구조에서 혼합양식성, 그리고 축소 지향적인 참여(출품)작품의 수량적인 문제가 주 원인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한국 음악사회 작금의 여러 기존형식의 가곡제, 신작 가곡제, 창작 가곡제를 통해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곡이 가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곡 춘추 전국시대적 가곡(노래)사랑의 열정적 이미지는 이미 그 명암이 흐려지는 노래문화 현실에서 매년 언론사 방송사를 중심으로 개최되고 진행되는 가곡발표회, 이를 테면 MBC-대학가곡제, CBS-창작가곡제, KBS-신작 가곡제 등에서 발표되는 가곡 작품들을 보면 그 출품 참여작의 수량과 작곡 완성도는 점점 축소, 낙후되는 경향을 볼수있다. 그러한 현상은 가곡발전에 중요한 적신호 현상으로 이 문제에 대한 타개책 마련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한국가곡의 개화기 19세기 초기와는 비교되는 가곡의 완성도면에서 다소 결격적인 작품성, 그것은 순수한 노래로서의 신작 개념보다는 복합적 개념의 신작의 의미로서 부각되는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예는 기존의 여러가곡제에서 보여진 출품작의 작품성면에서 나타난 작곡형태적 천태만상으로 그것은 가곡제 출품작으로서 작품 완성도면에서 작품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저 평가적인 출품작들이 적지않은 수준으로 어떤 모방성과 아류성이 그리고 장르적 혼합성이 혼재한, 장르의 경계가 모호한 작품류로 무늬만 창작개념의 저평가적인 출품작들의 존재이다. 다시 말해서 단지 외형적인 창작이라는 이름으로 음악적인 난해성을 강조한 창작류들이 등용되는 예가 적지않다는 이야기다. 그러한 작품류는 이른바 음악적인 국적, 출처, 정체 불명의 작곡언어 형태적 상황으로 작곡자 개인적인 임의적인 음악(작곡)언어를 남용하는, 그리고 차용하는 창작문화의 혼탁한 양상이 증가되는 창작(작곡)문화 현장이라 할 수 있다. 모방성과 아류성이 배제된 보다 한국가곡의 정통성이 유지되는 순수 한국가곡의 문화 르네상스 필요한 시대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한민국의 국악은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대단히 훌륭한 인류사회 길이 보존할 인류 최대의 문화유산적 명품이다. 전통적으로 대한민국의 위대한 정신문화유산, 우리의 전통문화 국악은 정통적인 국악으로서의 탁월한 예술문화성 음악미학적 정체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우리 국악에 어떤 ⓠ퓨전(fusion)化 시도는 순수한 우리 국악문화에 음악적, 문화적인 비 문화적인 누를 범하는 반 문화적 행위로, 국악의 퓨전화, 그것은 더 이상 국악이 아니다. 그리고 그것은 이미 유행어가 된 시대적 명언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 이라는 명제를 재차 부언하지 않더라도 국악은 국악으로서 독야청청 존재할 때 세계적인 문화로서 세계 제1의 독창성 문화,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영원히 기록된다. 이러한 음악적 정통성은 가곡에서도 같은 개념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위에서 잠시 언급한 바 있지만 가곡의 음악적 중심은 노래라는 개념이 보다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가곡은 노래로서의 조건이 첫번째 음악구조적 범주에 속한다. 그럼에도 대부분 기존 가곡제 출품작들에서보면 노래보다는 다른 장르 개념의 작곡(악곡)형태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가곡(성악)발표회이면 보다 가곡으로서의 주제가 선명한 작품 발표가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 현행 작곡발표회 작곡문화 상황에서 오늘의 문제(작품완성도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 가곡, 노래로서의 최대 경쟁력은 노래 혼합물이 아닌 노래 순수물로 선율선의 순수성, 단순성의 미학적 논리가 중요하다. 그것은 19세기 한국 가곡 명작류의 리더, 선두 그룹이라 할 수 있는 현제명, 이흥렬, 홍난파 등 한국가곡 제 1세대들의 작품 세계를 보더라도 그러한 논리는 합리적인 해석으로 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현제명 가곡류, 채동선 가곡류, 김성태 가곡류, 김동진 가곡류, 이수인 가곡류에서 볼 수 있듯이 그런 의미에서 볼 때 기존의 여러 가곡제를 통해서 나타난 한국 가곡류의 현재 작품격(성)은 노래로서 음악적 순수성, 단순성면에서 다소 그 품격이 저하, 저평가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가곡, 노래로서 어떤 창작 개념이라기보다는 다른 작품류에서의 선율적 차용현상, 패로디 증후군이 대두되는 경향으로 그것은 이국적 다국적 음악문화의 혼합현상(fusion)이 한 시대의 몰개성적인 모방문화가 팽배되는 아류문화 지배적인 상황에서 기존 가곡제의 어떤 공통적인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분명히 한국가곡, 우리의 국악은 한국다운 정서 한국 고유적인 전통을 지킬때 가장 한국적이고 한국 정통개념의 문화적인 가곡의 멋과 개성(음악성)이 살아움직인다. 따라서 여러 가곡제에서 볼 수 있는 어떤 모방성, 퓨전경향은 한국 가곡의 전통적, 정통성 개념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시적 모방성 문화조류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한국가곡, 우리국악은 한국 고유의 전통으로서 그 예술적 미학적 정체성의 비교문화적 가치는 매우 훌륭하다. 그러한 실제적인 사례는 한국 명작가곡 베스트 모음집. 리스트에서 보다 분명한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것은 한국인의 음악(노래) 정체성으로도 볼 수 있는 19세기 가곡 개화기 이후 '한국 가곡 베스트 걸작 모음집, 그리고 이탈리아 14세기 대 힛트 쏭 란디니 발라타의 명성이 시대를 초월에서 인기 절정을 누리고 평가되는 실체적인 이유를 분석해 보면 분명한 해답이 나올 수 있음을 알수있다. 결국 그것은 한국 가곡이, 란디니 발라타 모두가 노래의 특징적 캐릭터가 실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작가곡 신작 가곡의 어떤 모방성, 아류성, 퓨전성이 혼재하는 가곡의 정통성을 훼손하는 음악 조류(化)가 계속되는 한 더 이상의 란디니의 발라타, '한국가곡 명작 베스트 100선 모음'의 문화적인 명 레퍼토리는 재 탄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진다. 부언적으로 가곡은 가곡으로서 노래는 노래로서의 단순성의 미학, 쉬운 선율선이 근간이 되는 전통적 노래개념의 음악철학에서 우리시대 제2의 란디니 발라타, 그리고 제2의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선'의 명성은 과거 현재가 그러했듯이 미래시대에도 노래로서 가곡에 대한 열정적 관심은 계속적으로 이어질것으로 보여진다. 이렇듯 란디니의 발라타와 비견되는 한국가곡의 명작성으로 그동안의 잠정적 침체에서 벗어나는 한국가곡 춘추전국 문화운동이 필요한 시점에서 한국가곡(노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음악방송 클래식 FM 특히 공영방송 매체 미디어에서 보다 많은 중심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그것은 가곡의 문화적인 붐을 일으킬수있는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가곡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편성확대, 방송 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우선적이다. 현재 클래식 FM에서의 1일 가곡 프로그램 시간양을 보면 하루 30분 방송 런닝타임을 갖는 [정다운 우리가곡] 프로그램이 전부인 상황에서 24시간 방송체제를 기준으로해서 볼 때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그것은 대중음악 계열의 월드뮤직류 편성타임 보다도 아주 취약한 가곡 프로그램 편성시간으로) 이것은 공영 방송으로서 특히 클래식 FM의 고전음악 문화 르네상스 작업, 방송문화 형평성에 위배되는 비문화적인 편향적 방송문화 부조리 문제로 제기돼고 있다. 다시 말해서공영방송 미디어에서 가곡 프로그램 편성을 좀 더 확대, 강화한다면 확산일로의 가곡의 침체적 현상은 보다 해소,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매체를 이용한 가곡의 활성화 작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선행됨과 동시에 한국 가곡의 화려한 옛 사랑의 그림자 효과는 다시 찾아올 것이다. 그렇게되면 가곡 르네상스 활성화작업 또한 빠르게 진전될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제2 란디니의 발라타, 제3의 한국가곡의 노래문화의 멋과 낭만을 되찾는, 한국가곡의 황성 옛터(옛 명성)는 분명 그 잠재적인 은근과 끈기의 힘으로 다시 한국인의 노래기질과 열정적인 품으로 한국인의 애창곡으로서 한국인을 위한 우리들의 전통적인 가곡 베스트 프랜드 관계가 이어질것으로 본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가곡(노래) 르네상스 시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존의 신작 가곡발표회의 역동적인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여러 가곡제 프로그램에 보다 많은 작곡, 작곡계의 다다익선적 뜨거운 관심과 참여가 중요하다.


● 한국가곡 오데카톤(OTHECATON)시대

 

지금까지 이탈리아 14세기의 명 가곡 - 노래의 원조라할 수 있는 란디니의 발라타의 전설적인 음악사 이야기를 통해서 이탈리아의 오랜 옛시대의 흥미있는 프란체스코 란디니 음악사 이야기를 섭렵하면서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노래(성악)에 대한 신비로움과 신선한 감동이 더 하는 란디니 발라타 스토리에서 한국 가곡의 낭만적 음악성에 대한 비교음악학적 연구분석과 함께 이탈리아의 그 시대 란디니 - 발라타에 버금가는 한국 가곡의 명작성의 확고한 재평가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란디니 발라타를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가곡의 노래적 음악 정체성이 평가되는 상황에서 1900년대 시대를 풍미하던 한국가곡 명작(인기)가곡류의 뛰어난 명작성에 대해서 다시 한 번 한국가곡의 문화적, 음악적 위상(우월성) 또한 高 평가되는 시간이다. 따라서 한국가곡의 역사는 이탈리아나 독일의 그것보다는 짧은 역사성에도 이태리가곡, 독일의 리트 못지 않는 훌륭한 대한민국의 예술가곡, 노래라는 사실에 음악 문화적인 긍지를 갖게한다. 이미 언급한 바 있듯이 적어도 한국가곡류 명 레퍼토리 100선에 선정되는 '한국가곡 베스트 명곡 선'은 결코 란디니 발라타와 어느 가곡류와 비교해서 노래적인 작품성 면에서 비교되지 않는 절대적인 노래문화성을 갖는다. 그것은 한국 가곡류만의 고유한 서정적인 명작성의 주요 음악(가곡)적인 케릭터이기도 하다.(특히 한국의 가곡 1세대의 베스트 명작류) 특히 19세기 문화 개화기시대 한국 서정가곡 초기시대의 명작 가곡류, 한국가곡 걸작선의 대표적인 레퍼토리에 한해서는 그러한 한국 가곡사적인 절대적인 평가는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한국가곡 명작 베스트 선은 어떤 다른 세계의 가곡과 비교해서 음악성 예술성이 뛰어난 가곡 명작의 반열에 오른 명실공히 한국가곡 정수적인 명작들로 그 작품성의 문화적 미래 지향성은 현재 진행형으로, 미래시대 밀레니움시대 이후 영원히 그 은근한 한국 가곡사적인 빛을 발해줄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100선' 문화를 통해서 한국가곡의 명작성의 계승, 발전은 분명히 이루어질것으로 기대한다. 부언해서, 한국가곡 100년사에 빛나는 한국인의 음악정서의 결정체로서, 한국인의 노래, 한국 가곡의 정신문화적인 중심체로서 한국 가곡의 명작성을 길이 보존하는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한국 가곡문화의 활성적인 르네상스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그러기위한 긍정적인 방법론이라면 이 부분 역시 방송 매체에 의한 우선적인 선택조건이 될 수있는 사한으로 방송 매체에서의 가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수적이라할 수 있다. 그것은 가곡 프로그램 편성율, 확대는 물론, FM 음악채널에서의 한국가곡 생존을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 기획 설정이 필요한 시점에서 특히 가곡문화 활성화를 위한 연중기획 프로그램 제작, 베스트 인기 명작가곡 선정, 그리고 한국가곡 베스트 인기촤트 제작과 발표, 그러한 작업 과정에서 한국가곡 활성화, 르네상스 효과는 실제적으로 나타날것으로 여겨진다. 그 예는 한국가곡 개화기 이후 지금까지 이어진 한국 명작가곡의 인기 명맥을 보더라도 방송미디어 프로그램의 역할은 중요한 작용을 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방송 미디어에서의 가곡문화 활성화, 그 르네상스 작업은 보다 효과적인 결과가 있을것으로 본다. 그러한 또 하나의 예는 음악사적으로 16세기 이태리 ⓢ'페트루치'가 출판한 ⓣ조스캥 데 프레시대 샹송 100곡 모음집 '오데카톤(ODHECATON)'에서 볼 수 있는 실예로서, 이태리의 오데카톤에 버금가는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100선' 작업 그것은 가곡문화의 르네상스를 위한 필요 충분조건으로 이 작업 역시 방송 미디어를 통한 연중기획 프로그램으로 제작, 지원된다면 분명히 한국 가곡문화 활성화의 한 획기적인 현실적 대안이 될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인의 음악정서를 대변하는 '한국가곡 명작 베스트 모음선'에 포함되는 명 레퍼토리는 가곡(노래)으로서 한국인의 정신적인 노래문화적 영원한 레퍼토리로서,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명작가곡 베스트 모음집'을 어떻게 가곡(노래) 문화적으로 오랜시간 보존 승계 발전을 영위할 것인가가 오늘의 한국 가곡사적 음악이슈로 부각되는 21세기 현대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음악학적 과제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가곡의 노래문화성, 한국가곡의 명작성에 대한 동기부여적 차원에서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선' 한국가곡 오데카톤 선정작업은 매우 필요하고 청중의 흥미유발을 일으킬수 있을것으로, 그러한 작업을 통해서 한국가곡의 노래로서의 명작성, 가사와 선율선의 유기성, 노래적인 은근과 끈기, 미학적 서정성에 대한 가치평가를 연중 가곡인기촤트를 통해서 시청각적 흥미를 이끌어 내보자는 이야기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의 노래 [한국가곡 명작 베스트 100선]은 이른바 한국인을 위한 노래, 한국 예술가곡의 바이블로서 한국인의 열정적인 가곡사랑은 다시 옛사랑의 그림자를 되찾는 가곡 르네상스를 맞이할 것으로 보여진다. 다시 말해서 연중기획 프로그램 한국가곡 명작 베스트 선곡작업은 정통적인 한국가곡(노래) 100선 명작 레퍼토리로서 그 인기도, 명작성은 세계의 어느 뮤직 촤트와도 비교할 수 없는 뛰어난 한국 예술가곡의 으뜸적인 베스트 명작선으로 한국 가곡의 문화사적인 발전사를 대변해 줄 것이다. 오늘의 이러한 '한국가곡 베스트 명곡 선' 프로그램을 계기로해서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선]의 레퍼토리들은 한국인의 ⓤ애창곡 18번(넘버 원 애창곡)으로, 당당히 그 노래적인 위상을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 '슈베르트의 보리수'라든가 '라프마니노프 18변주'가 아닌 진정한 우리들의 노래, 한국인의 애창가곡 명 리스트로서 한국인 고유적인 넘버원 주제와 변주곡, 제 18번으로 자리하는 대한민국 고유적인 노래(예술가곡)로서 한국가곡의 옛 명성, 가곡문화 르네상스는 자연스레 옛 문화를 되찾는 한국인의 영원한 노래의 고향으로서 그 전통적 가치와 평가는 길이길이 존속될것으로 기대한다. 그런 의미에서 음악평론가로서 [2010 한국가곡 베스트 명곡 100선]을 선정, 공개하기로 한다. {참고로 오늘의 베스트명작 선정 기준은 KBS '정다운 우리가곡' 프로그램 레퍼토리를 기준으로해서 작품성과 노래성에 촛점을 맞춘, 무작위로 추출 선정된 선곡 리스트이다. 그리고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100선의 (숫자)표기는 명작 순위라든가 어떤 편향적 인기 순위와는 무관한 단순한 수량적 개념이다.}


● 2010 한국가곡 베스트 명작 100선

   <<음악평론가 여세실 미뉴엣 선정>>
    
1* 이은상시 박태준곡 : *동무생각 *산길(양주동시) ●2* 김재호시 이수인곡 : *고향의 노래 *별(이병기시) *돌담에 속삭이는 햇살(김영랑시) ●3* 조영식시 김동진곡 : *목련화 *가고파(이은상시) *소리(박화목시) *내마음(김동명시) ●4* 김민부시 장일남곡 : *석류 *기다리는 마음 *비목(한명희시) ●5*  김말봉시 금수현곡 : *그네 *구름(이영도시) *파랑새(한하운시) ●6* 김용호시 김동진곡 : *저 구름 흘러가는곳 ●7* 김노현시 김노현곡 : *황혼의 노래 *돌아오려마 *풀따기(김소월시) *어부의 노래(박화목시) ●8* 양명문시 변훈곡 : *명태 ●9* 민형식시 김원호곡 : *언덕에서 *물방아(정인섭시) ●10* 김연준시 김연준곡 : *청산에 살리라 *무곡 *별하나(전봉건시) *비가(신동춘시) ●11* 김남조시 김순애곡 : *그대 있음에 *4월의 노래(박화목시) *첫사랑(김광협시) ●12* 김소월시 김형주곡 : *첫치마 *꽃망울(우성윤시) ●13* 박문호시 김규환곡 : *님이 오시는지 *물새(우성윤시) ●14* 한국민요 : *신고산 타령 *아리랑 ●15* 김효근시 김효근곡 : *눈 ●16* 이은상시 홍난파곡 : *봄처녀 *장안사 *성불사의 밤 *옛동산에 올라 *사랑 *그리움 *봉선화(김형준시) *사공의 노래(함호영시) *고향의 봄(이원수시) ●17* 한국민요 채동선곡 : *새야새야 파랑새야 *망향(박화목시) *갈매기(이은상시) *그리워(이은상시) ●18* 제주민요 조영배 편곡 : *산천초목(강권순 노래) 19* 조병화시 김성태곡 : *추억 *이별의 노래(박목월시) *꿈(김안서 시) ●20*박두진시 이흥렬곡 : *꽃구름 속에 *코스모스를 노래함(이기순시) *고향 그리워(만향시) 바위고개 ●21* 박화목시 윤용하곡 : *보리밭 *도라지꽃 *보리피리(한하운시) *고독(황인호시) *달밤(윤곤강시) *나뭇잎배 ●22* 장수철(정태민시) 김대현곡 : *들국화 ●23* 김용호시 김진균 곡 : *또 한송이 나의 모란 *보리피리(한하운시) ●24* 손승교시 이호섭곡 : *옛날은 가고없어도 *접동새(김소월) ●25* 이은상 시 채동선 곡 : *갈매기 ●26* 김순남시 김순남곡 : *자장가 ●27* 한국민요 : *박연폭포 ●28* 유경환 시 박판길곡 : *산노을 *나뭇잎 *도라지꽃 *유월나비 ●29* 이기철 시 김동환 곡 : *그리운 마음 ●30* 조지훈시 오숙자곡 : *대금 *봄 편지(송문헌 시) ●31* 김수경시 나운영곡 : *아! 가을인가 ●32* 현제명시 현제명곡 : *나물캐는 처녀 *니나 *오라 *저녁별 *희망의 나라로 *그집앞(이은상시) *산들바람(정인섭시) ●33* 김소월시 하대응곡 : *못잊어 ●34* 김동환시 임원식곡 : *아무도 모르라고 ●35* 김동환시 오동일곡 : *강이 풀리면 ●36* 김태호시 나운영곡 : *달밤 *가려나(김안서시) ●37* 조지훈시 윤이상곡 : *고풍의상 ●38* 석호시 조두남곡 : *뱃노래 *산(허윤석시) *그리움(고진숙시) ●39* 조지훈시 김동환곡 : *낙화 *꿈길(하옥이시) ●40* 한상억시 최영섭곡 : *그리운 금강산 *사랑의 날개(조병화시) *정선아리랑(한국민요) ●41* 김영랑시 안정준곡 : *가늘한 내마음 ●42* 오세영시 박경규곡 : *별 *억세꽃 *그리움(이길원시) ●43* 이광수시 김대현곡 : *사비수 ●44* 김영랑시 김요섭곡 : *내 마음 아실이 ●45* 박화목시 임긍수곡 : *그대 창밖에서 ●46* 고정희시 이영례곡 : *그대 생각 ●47* 김현승시 안정준곡 : *가을의 기도 ●48* 김상옥시 황철익곡 : *봉선화 ●49* 김상옥시 김세형곡 : *옥저 ●50* 나웅시 한지영곡 : *청산 ●51* 조병화시 김달성곡 : *편편화심

 

ⓐ나폴리 민요:이탈리아방언의 시에 곡을 붙인 대중가곡의 총칭으로 원래 이 노래는 포딜리포에 있는 마돈나 델라 페이데 크로타 성당의 제전때 만들어 헌납된 곡으로 일반적 의미의 민요는 아니다. 제전은 9월 7일과 8일에 성대히 거행되는데 18세기에는 나폴리 악파의 아리아도 헌납된 듯 하다. 이 제전이 대중적인 노래제전 양상을 띠기 시작한 것은 18세기초 부터이며 당시 나폴리 왕에 의하여 나폴리시의 음악축제가 되었다. 이 가요제는 한때 중단되었으나 1953년부터 나폴리 칸초네 훼스티벌(나폴리 가요제) 형식으로 부활되었다. 산레모 가요제와 함께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대중음악의 제전이 되었고 매년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내고 있다. 오래된 나폴리 민요로는 1835년 당신이 제일 좋아(G. 도니제티 작곡, R. 사코 작시)이며 오늘날 잘 알려진 나폴리 민요는 <후니쿨리 후니쿨라>, <마레키아레>, <오 솔레미오>..
ⓑ카치니(Giulio Caccini 1545-1618);이탈리아 로마 출생, 그의 오페라 <Euridice 유리디체 1600) 가장 오래된 오페라로 알려져있고 카치니가 펴낸 마드리갈 아리아집 <신음악, Le Nouve Musiche>는 초기 바로크 음악의 지표로서 많은 작곡가에게 영향을 주었다.그리고 그의 딸 프란체스카 카치니(1587-1640)도 가수이자 작곡가 그의 최초의 제자이기도 하다.
ⓒ토스티(Francesco Paolo Tosti 1846-1916);이탈리아 작곡가로 그의 명곡으로는 <이상, 꿈, 기도, 세레나데 4월>가 유명하다. 토스티는일생을 가곡 작곡에 바친 서정가곡의 대표적인 작곡가, 그는 영국에서 음악교육에 헌신한 공로로 영국귀족 작위를 받기도 했다.
ⓓ카르딜로(Savatore Cardilo 1874-1947);이탈리아 나폴리 민요 작곡가, 그의 나폴리민요 명곡 <Core'ngrato 무정한 마음> 세계적인 명곡으로 원제목은 무정한 마음, 음혜를 모르는 마음, 카타리 카타리(Catari Catari)로 잘 알려져있다. 이 곡은 1908년 발표된 나폴레타나(나폴리 민요)이다. 오페라 대본작가 리카르도 코르디페로 작사, 살바토레 카르딜로 작곡, 드라마틱한 명곡으로 1951년 이탈리아 영화 <순애> Core'ngarto의 주제곡으로 유명하다.
ⓔ팔보아(Rudolf Falvo):나폴리 민요 작곡가로 특히 한국에서는 팔보아의 이름으로 '그대에게 내 말 전해주오'가 매우 유명하다. 그리고 그의 대표적인 나폴리 민요 명곡으로는 <Dicitencello Vuje 그대에게 내 말 전해주오>가 잘 알려져있다.
ⓕ덴짜(Luigi Denza;나폴리민요 작곡가로 명곡 후니쿨리 후니쿨라(1880)를 남기고있다. 여름에 듣기 시원한 후니쿨리 후니쿨라는 이태리 저널리스트 Peppino Tarco 작사, Lugi Denza 작곡으로 알려져있다.
ⓖ조르다니(Giuseppe Giordani 1744-1796);이탈리아 나폴리 작곡가 1779년 최초로 가극공연, 이탈리아 여러도시에서 가극작곡 활동을 계속했으나 뛰어난 작품은 없다. 오 내사랑(Caro mio ben)은 파사 에로티에 의해 런던에서 공연,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그의 작품으로는 오페라, 발레, 교회음악, 협주곡, 가곡 등 수많은 곡을 작곡한것으로 알려져있지만 Caro mio ben만이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다.
ⓗ데 쿠르티스(Ernesto de Curtis 1875-1937);나폴리 민요 작곡가, 그의 매우 유명한 노래 '돌아오라 소렌토로(Torna a Surrieto)', '너는 왜 울지 않고(Tu ca nun chiagne)' 나폴리 민요의 명곡으로 알려져있다.
ⓘ프란체스코 란디니(Francesco Landini 1325-1397);14세기 이탈리아 발라타 작곡가중 선도적인 인물, 천연두로 어려서 맹인이 되었음에도 란디니는 교양있고 마쇼와 드 비트리같이 존경받는 시인으로 음악의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도 그 시대 발라타의 명 작곡가로 잘 알려져있다.
ⓙ발라타(ballata);14세기 이탈리아 세속음악의 세번째 유형인 다성발라타는 마드리갈과 카치아보다 늦게 성행하였으며 프랑스의 발라드양식에서 다소 영향을 받았다. '발라타'라는 용어는 무용(ballare는 '춤추다'라는 뜻이다)을 반주하는 음악을 의미한다.
ⓚ조반니 다 프라토;14세기 이탈리아의 저명한 문인으로 그의 문학작품「알베르티가의 낙원」이 유명하다. '란디니'는 조반니 다 프라토의 알베르티가의 낙원에 나오는 주요 인물 중 한 사람이다.
ⓛ「알베르티가의 낙원」;이 작품은 [조반니 다프라토]의 명작으로 1425년 이후에 씌어졌지만 1389년부터 사건과 회화를 기록하는 취지를 가지고있다. 여기에 기록되어있는 짧은 이야기(novelle)--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초서의「캔터베리 이야기」와 비슷한 구성으로 짜여진 이야기--들 가운데는 프란체스코 란디니와 관련해서 이야기가 한 편이 전해지고 있다.
ⓜ발라테타(ballatetta);발라테타는 이탈리아 14세기시대 유행한 음악(무용을 위한 반주노래)으로 발라타(ballata)류의 춤을 위한 반주음악 - 노래를 말한다.
ⓝ오르가네토(ORGANETO);이탈리아 14세기 시대의 악기로 휴대가 가능한 소규모 오르간을 말한다. 특히 이 오르가네트는 이탈리아 발라타 작곡가 프란체스코 란디니가 즐겨 연주하던 악기로 그 당시 란디니는 오르가네토 명연주자로 알려져있다.
ⓞKOREAN MUSIC EXPO;'대한민국 창작음악 브랜드화'로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 제전]을 의미한다. 한국 작곡가협회, 한국 문화예술 위원회가 주관하는 이 음악제는 지난 2010년 1월, 예술의 전당에서 4회 실내악 작곡제전 KOREAN MUSIC EXPO 콘서트를 갖은바 있다.
ⓟEasy Listening;이지 리스닝 말그대로 쉽게 들리는 음악으로서 멜로디 라인이 청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쉬운 음악을 말한다. 주로 팝음악에서 사용하는 음악용어.
ⓠ퓨전화(fusion);장르의 혼합형태로 클래식과 대중음악, 국악과 월드뮤직 등 일종의 크로스 오버적인 개념으로 상업성 대중음악 개념이다.
ⓡ오데카톤(ODHECATON);오브레히트, 이자크, 그리고 조스캥시대의 샹송은 유명한 명곡선집 중 하나로서 1501년 베네체아에서 페트루치가 출판 계획의 첫 작품으로 출판한「Harmonice musices odhecaton A」에서 연구할 수 있다. 이 제목은 화성적, 즉 다성음악으로 된 노래 100곡(실제로는 96곡 뿐이다)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문자 'A'는 이러한 연속곡집의 1권이라는 의미이다. <다성음악 100곡 오데카톤>은 1470-1500년 사이의 작곡된 샹송들의 선집이다.
ⓢ페트루치(OCTAVIANO DE PETURUCCI);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유명한 악보인쇄 출판업자로 1501년 처음으로 다성음악 곡집을 출판했다. 1523년까지 페트루치는 성악과 기악곡 59권을 출판했다. 그의 출판물 중 특히 최초의 것들은 선명하고 정확한 점에 있어서 모범이 된다.
ⓣ조스캥 데 프레시대;16세기초기 1500년경 활동하던 작곡가 중에는 일류에 속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 중 한 사람이 조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 1440-1505)였다. 그는 분명 모든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스캥은 동시대 작곡가들로 부터 '우리시대 최고의 작곡가, 음악가의 아버지'라는 찬사를 받았다. 마르틴 루터는 '그는 음표의 주인이다.' 피렌체의 문인, 코지모 바르톨리는 1567년 건축, 회화, 조각에서 미켈란젤로처럼 음악에 있어서는 조스캥을 비유한 바 있다. 조스캥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00곡의 모테트, 70곡의 샹송, 그밖의 세속적인 성악곡 등이 전해진다. 조스캥시대 동시대 작곡가로는 하인리히 이삭, 야코프 오브레히트, 장 무통, 야코프 아르카델트 등이 있다.
ⓤ애창곡 18번;애창곡 18번이라는 말은 일본식 표현법으로 어휘적으로 다소 부정적인 개념이 있기도하다 그러나 현대 언어문화적으로 볼 때 수용할 수 도 있는 재미있는 용어로 좋아하는 노래, 즐겨부르는 노래, 넘버원 의미로 자주 쓰이고 있다.
 

참고문헌;서양음악사(Graut, Palisca 공저)-세광음악출판 편집국역. www.google.co.kr  WIKIPEDIA

  

 

                         ■ 여세실 미뉴엣..*♬♡((음악평론가 - 한국음악평론가협의회)) ■


 

                              %C2%FC%BC%D5%BF%A9%C7%E0_272a.jpg

 

                              P1010007a.jpg

                                ● 프린세스 미뉴엣♡    May   2012

 

 

 

                                  ■ J.S.Bach - Concerto for Two Violin in d BWV 1060 ■



 

 

 

 

 

 

 


 

 

 

 

 

 

 

'Art Criti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로스오버 그 허와 실  (0) 2015.07.03
미뉴엣 G장조에 대한 생각~  (0) 2015.07.03
문화경쟁력의 아이콘 - 콘서트  (0) 2015.07.02
John Cage and his City  (0) 2015.07.02
F.Schubert : Sonata in Bb D.960 <비교연구>  (0) 2015.07.02